학술논문
고려시대 資福寺의 성립과 존재 양상
이용수 304
- 영문명
- The Feature and Formation of Jaboksa(資福寺) in Goryeo Age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저자명
- 한기문
- 간행물 정보
- 『민족문화논총』제49집, 279~328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려시대 자복사가 제도적으로 존재하였음을 사료에 나타난 사례를 가지고 증명하려 하였다.
사례를 검토한 결과, 자복사는 각 행정단위의 성립시부터 치소와 더불어 읍내에 마련된 사원이 자복사로 지칭되었다. 그것은 국가의례의 실현 장소로서 읍민을 불교 이념으로 결집하는 기능을 하여, 치소와 더불어 행정·교권적 지배의 이원적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구체적 사례는 광종대부터 나타나고, 현종대 각 지역 호장층이 중심이 되어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자복사 개념은 唐 玄宗代 81州에 설치된 龍興寺·開元寺 등이 國忌와 祝壽 행사의 장소와 각 주 불교 교화의 거점으로 한 官寺제도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을 것이다. 고려는 늦어도 문종대 국왕축수 도량을 공식적인 지표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당대 관사와는 다른 점은 각 행정단위 모두에 자복사가 지정되었다는 점이다. 국가불교의례의 경우는 연등회와 경행이 보편적으로 시행되었고, 국왕축수, 인왕회는 계수관과 주부단위까지였다. 자복사의 기능은 이외에도 숙박, 시장, 불교도시로서의 장엄 등 다양하였다. 한 지역의 안녕을 기원하여 지역을 불교로 결속시키는 역할도 하였다. 그러므로 읍사를 구성한 호장층이 주도하고 파견된 수령도 함께하였다.
고려시기 자복사의 존재양상은 『태종실록』에 나타난 읍내 자복사의 명찰로 대체한 88사 명단이 있는 행정단위를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계수관, 주현, 속현, 부곡제 영역까지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수관과 주현에는 다수의 사원이 자복사로 거론되었다. 그 이하 행정단위는 一邑 一資福寺가 지정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부곡제 지역까지 광범한 자복사의 존재는 다양·다기한 지역편제의 성격상 수령과 속관, 그리고 향리들만으로는 통치할 수 없는 점을 그것이 보완한 측면이 있을 것이다.
척불론자가 수령으로 간 지역은 고려말부터 읍내 자복사를 철거하기 시작하였다. 조선 태종대 사사혁거시에 읍내 자복사를 위축시키기 위해 여러 조치를 시행하였다. 세종대에는 거의 사라져서 향사당, 객사, 향학, 역원 등으로 바뀌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기능이 역원 등으로 변화되어 그 자취를 남기고 있다.
영문 초록
I examine the historical resources for the institutionalized of Jaboksa in Goryeo.
On the examination Jaboksa could be the downtown temple in the administration units with officical center(治所). It did the national rituals and the integration of the towners with Buddhist ideology, the governmental and the ecclesiastical. The events were showed in Gwangjong. Hwyunjong diffused it on the basis of the local elites. Jaboksa concept was established on the influence of the offical temples which did the king`s memorandum and happiness and the Buddhistization in provinces of Dang. At the later, the official index of Jaboksa will be the temples for Moonjong`s Fortune in Goryeo. Goryeo had them in all the local units with the difference of Dang. Yeundeunghwoi(燃燈會) and Gyunghwaeng(經行) as the national Buddhist rituals were widespread. The blessing of the present king and Inwanghwoi(仁王會) were done at Gyesoogwans(界首官) and provinces(州·府). To the addition of these, Jaboksa performed the roles of inn and market and majesty of Buddhist city. It prayed the prosperity and coherence of the area on Buddhist worldview. So the local power elites as the initiative of town office lead it. Also official leaders as the agent of king participated.
I studied the feature of Goryeo`s Jaboksas to the reference of 『Shinjeung dongkookyeu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which reflected 『Taejongshilrok』(太宗實錄). Jaboksa was in Gyesoogwan, Joohwyun(主縣), Sokhwyun(屬縣), Boogok(部曲). Gyesoogwan and Joohwyun had many. The principle was one- on-one-town. Therefore it helpeted the governmentor`s and local leader`s not doing.
In the end of Goryeo, Anti-Buddhist officials destructed Jaboksa. Taejong proclaimed the edicts for the shrinking of Jaboksa at the Temple-Eradication(寺社革去) time. Jaboksa was extincted in Saejong. It was changed as hwyangsadang(鄕社堂), gaeksa(客舍), hwyanghak(鄕學), yeukwon(驛院). 『Shinjeungdong- kookyeujiseungram』 shows its transformation as the fuction of yeukwo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자복사의 개념과 성립 배경
Ⅲ. 자복사의 기능과 운영
Ⅳ. 자복사의 존재 양상과 변화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해 원구리 영양남씨의 문중조직과 종족활동
- 中山 朴章鉉의 儒學觀 :返本改新의 儒學振興策과 孔敎觀을 중심으로
- 『莊子』의 無用 개념과 그 현대적 수용
- 교육계몽 운동으로서 새마을운동의 특성과 의의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출산인식 및 출산행태의 차이
- 韓國 地方自治團體의 敎育發展計劃 樹立 事例
- 재래시장과 예술의 만남: 광주광역시 대인시장의 사례
- 『周易』「節卦」에 대한 丁若鏞의 해석
- 조선 16세기 신도비 비액 전서 연구
- 毛奇龄“推移”说与清代汉易復兴: 兼论毛奇龄推移说与丁若镛推移说之异同
- 中國思維現代化問題 - 從邏輯的觀點看
- 일본의 독도 `고유영토설` 비판
- 『백병구급신방』의 어휘 연구
- 中國與韓國傳統文化之現代詮釋 :以兩國之朱子學硏究為例
- 全球倫理與孔子的德性之思 :『全球倫理宣言』再省思
- 湖南文革의 전개와 省無聯
- 靑巖 朴泰俊의 `道器結合`的 聖人經營 : 儒敎의 새로운 聖人像 모색을 중심으로
- 儒家政治權威合法性之探討 : 由天命到王道
- 고려시대 資福寺의 성립과 존재 양상
- 眞一齋 柳崇祖의 性理說에 관한 분석적 고찰
- 촌락공동체신앙 전승의 현재적 의미 :경북 문경시 부곡리 별신굿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독 교육개혁 시기 교사집단의 정치화: 김나지움을 중심으로
- 교양소설의 역사성에 대한 고찰 : G. Keller의 ‘녹색의 하인리히’를 중심으로
- 역사학과 사회학의 통합: 블로크의 『봉건사회』와 엘리아스의 『궁정사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