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설 연극, 표현의 자유와 젠더 편향성

이용수 203

영문명
Obscene Theater, Freedom of Expression and Gender Bias : Situations of Prostitution(1988), Miranda(1994) and Theatrical Change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양근애(Yang, Geunae)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0집, 537~56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80년대는 민주화를 계기로 억압에서 자율로, 통제에서 개방으로 이동한 듯했지만 실제로는 민주주의 통치의 모순으로 인한 새로운 장치로서의 억압이 시작된 전환기였다. 이 글은 1980년대 후반, 표현의 자유 논쟁의 도화선이 되어 대본 사전검열제도를 철폐시킨 연극 <매춘>(1988) 사태에 주목하여 풍속 통제의 모순과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르포를 원작으로 한 <매춘>은 의도와 상관없는 외설 논쟁으로 비화되어 여러 속편들과 영화로 재생산 되었으며 이는 이후 쏟아져 나온 포르노 연극의 문제와 연관된다. 1990년대에 나온 <미란다>(1994)는 제작자가 음란죄로 사법처리를 받으면서 외설 논쟁에 다시 불을 지핀 연극이다. 당시 언론은 외설과 음란 논의를 증폭시켜 금지를 상품화하도록 부추겼고 민주주의 이후 통제와 검열의 모순에 대한 진전된 논의를 기대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외설 논쟁의 중심이 된 <매춘>과 <미란다>는 주류 연극과 서울 중심 연극의 바깥에서 돌출된 연극으로 주류 연극과 기성 연극을 당혹스럽게 한 구성적 외부로 존재했다. 외설 연극을 둘러싼 일련의 사태는 표현의 자유 논쟁을 넘어 연극의 상업성과 대중성 논의를 촉발시켰으며 민주주의 이후 한국연극의 자생력과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양산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타자화/대상화 된 여성에 대한 논의와 남성적 응시의 극장에 대한 비판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그간 한국연극이 내재한 젠더 편향성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며 여성을 주체로 하는 연극을 불가능하게 하는 이중구속의 상태를 지속되게 한 원인이 되었다.

영문 초록

In the 1980s, democratization seemed to move from oppression to autonomy, from control to openness, but in reality it was a turning point when oppression as a new device began due to the contradiction of democratic rule.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tradiction and the effect of the control of customs in the late 1980s, focusing on the theater Prostitution(1988), which was the fuse of freedom of expression and eliminated the system of pre-censorship. Prostitution, based on the reportage, was spoiled by unintended obscenity controversy and reproduced in several sequels and film, and all of these are related to the problem of pornographic theater. Miranda(1994), which appeared in the 1990s, was a theater that rekindled the controversy over obscenity as the producer was subjected to judicial treatment for the crime of obscenity. At that time, the press encourage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ban’ by amplifying obscenity and pornography discussions, and made it difficult to expect progressive discussions on the contradiction of control and censorship since democracy. Prostitution and Miranda, which became the center of obscenity controversy, stood outside the mainstream theater and the center of Seoul theater, and existed as ‘constitutive outside’ that embarrassed the mainstream theater and the established theater. A series of events related to obscene theater sparked debate on commercialism and popularity of theater beyond the controversy of freedom of expression, and produced questions about the self-sustainability and identity of Korean theater after democracy. In the process, however, discussions about women who became otherized and objectified were not properly conducted. This shows the aspect of the gender bias inherent in the Korean theater in the past, and it causes the state of double restraint which makes the theater based on female subjectivity impossible.

목차

1. 1987년 이후, 규제와 억압의 재배치
2. 표현의 자유와 외설의 정치성
3. ‘금지된 공연’의 파급과 외부의 연극
4. 윤리적 폭력과 남성적 응시의 극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근애(Yang, Geunae). (2018).외설 연극, 표현의 자유와 젠더 편향성. 구보학보, 20 , 537-566

MLA

양근애(Yang, Geunae). "외설 연극, 표현의 자유와 젠더 편향성." 구보학보, 20.(2018): 537-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