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80년대 중후반~ 90년대 초 北朝鮮産 역사지식의 유포와 한국사회· 한국사

이용수 90

영문명
North Korean historical knowledge influenced Korean society from the late 1980s to the early 1990s and Korean history research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신주백(Sin, Ju-back)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0집, 115~15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북조선의 역사지식이 한국사회에 유포되는 사회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에 대한 한국사 학계의 대응을 민중사학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의미를 되새겨 보았다. 북측의 역사지식이 한국사회에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은 학계나 출판계의 요구가 아니었다. 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NL진영의 영향력이 운동권 내에서 급속히 확장되는 과정과 맞물려 있었다. 북측의 역사지식은 1960,70년대와 달리 공개 출판물로 급속히 유포되었다. 개인의 지적 호기심을 넘어 사회적 실천의 일환이었다는 점에서 과거와 달랐다. 한국사 학계에서 여기에 적극 반응한 그룹은 역사발전과 변혁의 주체로서 민중론에 입각하여 민중사학을 표방하던 신진 연구자들이었다. 그들은 북조선산 지식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반공이념에 사로잡혀 무조건 비판하거나 부정하지 않았다. 이즈음부터 한국사회는 한국현대사에서 북측의 역사를 부분적으로 담아내기 시작하였다. 남측만의 자족적인 시야에서 벗어나 한반도 전체를 시야에 넣는 역사적 접근이 정착하고, ‘北傀’라는 말을 가급적 사용하지 않고 ‘北韓’이란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새로운 접근방식의 정착과 변화는 한국인이 ‘북방’을 다시 상상하고 말할 수 있는 준비된 내적 토대였다. 역사학만이 아니라 한국사회가 우리 안의 식민주의를 극복하고 구조적으로 넘어서려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historical knowledge of North Korea is spread to Korean society. And I analyzed the meaning of Korean society’s response to it by focusing on the people history. The process by which North’s historical knowledge was introduced into Korean society and spreading was not a requirement of academia or publishing. In the course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influence of the NL camp was intertwined with the process of rapid expansion within the movement. Unlike the 1960s and 1970s, the North’s historical knowledge rapidly spread to public publications. It was different from the past in that it was part of social practice beyond individual intellectual curiosity. The group that actively responded here in the Korean history academic world was the new face researchers who folk scholars based on the Minjung theory as the subject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They critically accepted the North’s historical knowledge. It was caught in anti-communism and did not criticize or deny it unconditionally. From this time on, Korean society has begun to reveal the history of North Korea in Korean modern history partly. The historical approach of putting the whole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view is settled. Also, the term ‘North Korean puppetry(北傀)’ was not us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term ‘North Korea(北韓)’ was used more frequently.

목차

1. 머리말
2. 민주화운동의 동향과 출판물
1) 1980년대 초중반 기획번역의 출판물
2) 북한바로알기운동과 북조선산 출판물
3. 움직임 : 북조선산 역사지식과 ‘민중사학’
1) 북측 역사학계의 변화
2) 북조선산 역사지식과 민중사학의 반응
4. 내용 : 북조선산 역사지식과 한국사 연구
1) 사례 1 - 새로운 개항기 역사상과 갑신정변 연구
2) 사례 2 - 현격한 인식의 차이, 김일성과 항일무장투쟁사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주백(Sin, Ju-back). (2018).1980년대 중후반~ 90년대 초 北朝鮮産 역사지식의 유포와 한국사회· 한국사. 구보학보, 20 , 115-151

MLA

신주백(Sin, Ju-back). "1980년대 중후반~ 90년대 초 北朝鮮産 역사지식의 유포와 한국사회· 한국사." 구보학보, 20.(2018): 115-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