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동향 비교
이용수 4219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Trend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Related to the Project Approach and the Reggio Emilia Approa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상옥(Jang, Sang Oc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3호, 139~16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27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동향을 연구 연도, 연구 대상, 연구 유형과 연구 주제에 따라 비교ㆍ분석하여 프로젝트 관련 연구 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학술정보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통하여 관련 주제어를 검색한 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164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별 동향을 보면, 프로젝트 접근법 연구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연구보다 많았으며 대체로 매년 4-6편의 연구가 최근까지 이루어졌으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연구는 최근 1-2편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연구 대상은 두 접근법 모두 유아 대상이 가장 많았고, 교사 대상은 최근에 증가하였다. 연구 유형은 프로젝트 접근법 연구는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문헌 연구의 순이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연구는 질적 연구, 문헌 연구, 양적 연구의 순으로 질적 연구가 많은 특성을 보이면서 다양한 질적연구 유형이 나타났다. 연구 주제는 두 접근법 모두 교수․학습방법과 교사교육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는 교육과정, 교육환경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더 이루어졌다. 두 접근법 관련 연구를 비교하고 논의하였으며 앞으로 프로젝트 관련 유아교육 연구가 더 활성화되기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of project approach research and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according to research year, research subjects, type of research and research themes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oject related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164 papers in the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ject approach research was more than the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generally, four to six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ach year, but the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has recently been reduced to one to two.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study subjects, both approaches had the highest number of young children in the human subject, and the study of teacher subjects was on the rise in recent years. In terms of research types, project approach research was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Reggio Emilia approach research was in the order of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In both approaches, qualitative research showed many characteristics and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types appeared.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research them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er education themes were most often studied, while the Reggio Emilia approach included
studies on various topics, such as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two approaches have been compared and discussed, and further project related studies have been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문화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분석
- 간호대학생의 동기강화 모델을 적용한 복습 프로그램 실행연구
- 학생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대학 생활 만족도 제고
- Classroom Practices Under th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Policy
- 대학생의 비교과교육과정 및 비교과졸업인증 인식에 대한 혼합연구
- 미술관 서포터즈 활동이 미술인식의 변화와 자기계발에 미치는 영향
-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초등사회과 인권수업 사례 연구
-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과정 글쓰기 교재 개발 및 효과 검증
- 전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유아의 실행기능에 대한 아버지 양육과 유전자(DRD2)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연구
- 우리나라와 핀란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통해 본 구체물과 추상적 개념의 도입 방식
- 이야기나누기 활동 자리배치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특성 분석
-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관련변인의 구조적 관계
-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글쓰기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수업 사례 연구
- 중ㆍ장년 실직자의 정서적 안정감과 구직강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원격협력학습을 위한 초등 영어교과서 문화내용과 학생요구 분석
- 대학 댄스스포츠 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신감과의 관계에서 자기관리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 동영상 학습에서의 대학생 동공 반응 분석
- John Dewey 학습관에 따른 “학습사회”의 개념 탐색
-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동향 비교
-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초등 3~4학년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생선수의 체조부 활동 경험과 의미
- 간호대학생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읽기성취 수준별 어휘능력과 읽기이해력 간의 관계 분석
- 어린이집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창의력(융・복합 능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요인의 구조적 관계 탐구
- 개도국 교원의 디지털 교육역량 향상을 위한 ODA 연수과정 교육요구도 분석: KLIC사업을 중심으로
- 확장학습 주기로서의 개념 학습 과정에 대한 이론적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