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축적 조형소재로서 펠트의 융합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372

영문명
A Study on Possibilities of Confluent of Felt as a Constructive Sculpture Material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차영순(Cha Young soon) 안은선(An Eun-sun)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1집 1권, 195~21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현대사회는 그 구조가 불명확하고 탈 경계적인 특성을 강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하나, 또는 주요 이상이나 이념에 구애 받는 사회가 아닌, 다양성과 상대성을 통해 자신의 의지와 생각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는 사회를 웅변하고 있는 것이다. 즉, 우리의 시대는 모더니즘의 특징인 이성적 주체 개념의 틀을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문화, 예술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리하여 현대미술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양상으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두드러진 현상으로 다원화를 통해 그 방향이 모색되고 있어 규정지어진 장르의 구분을 넘거나 혼합매체의 사용과 소재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써 작품을 표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오브제의 조소성과 독립성이 강조되는 구체적 형태보다는 작품이 설치될 공간과의 상호작용 관계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져 설치미술의 장르가 부각되곤 한다. 이러한 설치미술은 여러 가지 소재로써 시도되었는데 그러한 특성을 잘 구현할 수 있는 섬유는 유연성, 촉감성, 가변성을 지니고 있는 소재로 각광받곤 한다. 섬유소재 중 펠트는 자연에서 나온 양모를 소재로 한다. 펠트는 모섬유의 특징인 축융성을 이용하고 있는바 수축과 팽창을 통해 발생하는 가소성으로 인해 다양한 변화를 유도하므로 양모문화권은 물론 비문화권에서도 사용이 넓게 확대되고 있다. 펠트는 일반 섬유로 된 직물과는 구조가 다르다. 펠트는 개별적인 실과 실의 교차를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압축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의 얽힘으로 이루어진 매우 작은 섬유조각들이 서로 얽혀있는 소재이다. 그러므로 천편일률(千篇一律)적으로 정해진 규칙이 있는 계통화, 위계화된 수직적 구조가 아닌 자유로운 형태의 수평적 구조로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언급한 ‘반-직물(Anti-tissu)’의 성격을 지니며, 리좀(Rhizome)의 개념에 해당하는 흥미로운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펠트소재의 가변적인 특성과 입체조형으로서의 전개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조형소재로서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대미술의 매체로써 섬유소재가 갖는 펠트의 재료적 특성에 따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실현한 섬유조형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펠트의 특성 중 주목받지 못했던 가변성과 다른 소재와의 융합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구축적 소재로서 펠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oday’s modern society is a tendency to strongly emphasize unclear and demarcated characteristics. It is not a society that is subject to one and major ideal, but a society that can express people’s own will and thoughts freely through diversity and relativity. In other words, the contemporary era has moved beyond the framework of modernism, the concept of rational subject, which has been dominating modern trends of thought. These social changes hav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lture and art. And they have brought on dramatic changes in various and complex aspects which have been sought after through diversification. Work has been expressed beyond the categories of defined genres through use of mixed media and with new interpretation of materials. Therefore, rather than existence in a specific form, attempts of expansion of the form and interaction with the space in which the work would be installed, and it led to the genre of installation art. This installation has been attempted with various materials, especially fibers, which have been popular as elastic, tactile, and flexible materials. Among the textile material, felt is a wool material derived from nature and is used in regions of wool heritage as well as regions of non-wool heritage because it induces changes due to plasticity caused by shrinkage and expansion by utilizing the melting property which is the property of fiber. It is different in structure from a fabric made of ordinary fibers, and no individual yarns or crosses can be found at all, and there is only the entanglement of the fibers obtained by compression. It can be said that very small pieces of fiber are intertwined. It is not a vertical structure with hierarchical rules but a horizontal structure that is as described and can be said that It has an anti-tissue character and is the concept of Rhizome by combining fixed and flexible at the same time by the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the possibilities of felt as a sculpting material by examining the transformable characteristics of felt and its development as a three dimensional sculpture. To this en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meaning of fiber materials by nature of felt as media of contemporary art and examples of fiber formations. In addition, it has studied felt’s flexibility which has not been highligh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lt and its convergence with other materials,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tudied the new possibility of felt as a constructive material.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현대미술과 섬유
Ⅲ. 펠트의 소재적 특성과 융합가능성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영순(Cha Young soon),안은선(An Eun-sun). (2018).구축적 조형소재로서 펠트의 융합가능성에 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1 (1), 195-216

MLA

차영순(Cha Young soon),안은선(An Eun-sun). "구축적 조형소재로서 펠트의 융합가능성에 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1.1(2018): 195-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