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의 역량 강화 교육과정 사례 연구
이용수 696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Competence-based Colleg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미리(Choi Mi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0권 3호, 479~5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반적으로 대학은 고등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얻어야 할 지식에 초점을 맞추 어왔다. 그런데 미국의 Tunxis 지역사회 대학은 학생들이 성공하는데 필요한 교양 교육의 역량들을 규명하고 그것의 달성도를 평가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러한 역량들은 학생이 졸업 후 취업을 하거나 학사학위를 위해 편입을 하거나 무관 하게 누구에게나 필요한 역량이라고 본다. 역량에 초점을 맞추는 이러한 교육은 학 생들이 얻은 지식을 실제의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 리고 학생들이 이러한 역량들을 실제로 계발하였는지 확인하고 학생들이 그들이 학습한 바를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생 성취도에 대한 평가를 매우 중시한다. 교수들은 교과목 마다 각각의 역량과 역량별 수준의 달성도를 평가 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고안하였다. 대학의 책무성이 중시되는 현실에서 한국 대학들은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교육의 성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교육의 목표 또는 역량을 명확히 설정하여야 할 필 요성이 높아진다. 이는 학생들이 학습하여야할 역량을 구체화하고, 학생의 성취도 를 평가하며, 적절한 피드백과 교정이 제공되는 과정을 수반한다. 이렇듯 성과에 토 대를 둔 역량 강화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은 기존 체제에서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 미한다. 이는 학생의 수행정도를 실질적으로 측정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학생 중심의 교육철학에 토대를 둔다. 즉, 학생들의 단계별 성취도의 차이를 인정하 고 개별 학생의 필요에 부응하여 지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러한 체 제의 변화는 대학 당국이 주도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전 구성원이 대학 의 책무성에 대한 인식하에 통합적으로 동참하여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역량 강화 교육과정은 소규모의 한국 대학에서 적용 가능하다고 본다. 그 리고 그 규모를 축소하여 적용한다면 전공별로 혹은 교양교육과정에서 혹은 교사 양성프로그램 등에서 시범적인 운영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별 교수 차원에서는 중소규모의 교과목에서 역량에 토대를 둔 학습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교육과정 및 평가 방법을 개발하며,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 선행 사례들을 선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In gen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focused on the knowledge that students should gain in higher education. Tunxis Community College has been identified and assessed the general education competences that students will need to be successful, whether they plan to pursue a bachelor’s degree or employment after leaving the College. This approach recognizes that students need to be able to apply the knowledge they have gained to real world situations. Assessment of student achievement is also necessary to ensure that students have in fact developed these competences an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what they have learned. The faculty have designed a variety of strategies to assess student achievement in each competence and level in courses. Korean universities need to emphasize setting clear objectives or competences for observable, measurable outcomes in the accountability-driven world. It needs to clearly specify the abilities to learn, assess student progress, and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or remediation. This outcome based education is fundamentally about system change. It is a student-centered learning philosophy that focuses on empirically measuring student performance. This acknowledges differential growth at different stages, and focuses the teacher on the individual needs of the students. Active interaction in disciplines, departments, and faculty is needed for a student learning and a college s accountability, under the strong academic leadership. This competence-based model might be applicable in a small sized Korean university. Partially, in small-sized programs such as some majors, general education, or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is model might be applicable. And also each faculty, in small or middle-sized classes, would be able to apply this model selectively in redefining teaching and learning goals in terms of competences, developing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and suppling specific feedback.
목차
I. 연구의 목적
II. 연구의 방법
III. 연구의 내용
IV. 논의 및 시사점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정서 행동적 특성과 리듬 모방 수행력의 상관관계 연구
- 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효능감의 탐구
- 한국과 일본의 체육교육 목표 변천에 대한 고찰
- 한국 부모-자녀 대화의 소통 방식
- 주제중심 학습프로그램(점프 리더)이 통합적 사고 성향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 음악 교육 Rhythmic Solfege 교수법 원리와 테크닉
-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서번트 리더십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고교성적, 수능성적, 대학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찰 :
- 온라인 학습자의 과제가치와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의 가치관 및 실제적 지능의 발달특성 분석
-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에 관한 탐색
- 초등교사의 사이버학급 운영 및 인식 실태 연구
- 한국 고등학교의 영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탐색 연구
- 대학의 역량 강화 교육과정 사례 연구
-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 대학교의 교사전문성 개발 학교(PDS) 연구
- 과학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첨단과학기술 내용 분석
- 초임 체육장학사 문화에 대한 사례연구
-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교과서에 대한 인식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실태 분석
- 초등학생의 등교거부경향성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학교 유형별 중학생의 학습태도와 학교생활 적응 관계 탐색
- ‘만드는 꽃’과 ‘조립하는 꽃’ :
-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 재탐색
- 2009 교육과정의 맥락적 의의와 실현의 조건 :
- 중학생의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