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소재 국문시가 자료의 분포와 특징

이용수 302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nacular Poetry Mentioned in Chuan and Gukan(推案及鞫案)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승우(Kim Seung u)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95輯, 83~11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중죄인에 대한 심문 재판 기록인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에 수록된 국문시가 관련 기록의 분포를 탐색하여 시대순으로 ①~⑰로 번호를 붙여 정리하였다. 또한 소재 작품들이 비판 의식을 드러내는 양상과 특징을 살핀 후 조선후기 시가사와 연관된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⑧ㆍ⑫와 같이 종래부터 전승되던 시가 작품에 별도의 의미를 부여하여 향유한 경우에는 해당 작품의 전승사적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숙종8년(1682)의 기록인 ⑧에는 시조 “까마귀 싸우는 골에~”가 수록되었는데, 18세기 이래의 가집들에 수록된 형태와는 어구가 여러 군데 다르며, 특히 종장의 “江湖의 싯곡 시슨 지ᄎᆡ 피 모들가 ᄒㆍ노라”라는 표현은 특유하다. 이 작품에 역적들을 규합하려는 뜻이 담겨 있다는 혐의가 불거지자, 이후의 전승 과정에서는 역모와 살육을 연상 시키는 종장의 표현을 완곡하게 다듬은 것으로 추정된다. 정치적 사건으로 작품의 전승이 훼절된 양상을 상정할 수 있는 사례이다. 영조9년(1733)의 기록인 ⑫에는 <왕소군원가>로 추정되는 가사 작품이 등장하는데, 여기에서는 왕소군의 한스러운 어조를 빌려 평소 나라에 대해 지니고 있던 울분을 표출하는 독특한 방식을 취하였다. 백성을 보호할 생각은 하지 않고 위정자들이 자신의 안위에만 여념이 없는 폐단과 그 때문에 겪는 백성들의 고통을 왕소군의 비극적 고사에 투영하였던 것이다. <왕소군원가>와 같은 이른바 ‘영사가사’의 부류가 연행자의 의도와 소통 환경에 따라 매우 다양한 편폭의 의미를 지니기도 하였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한편, ⑤ㆍ⑦ㆍ⑰과 같이, 『추안급국안』에는 다른 기록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시가 작품이 등장하기도 한다. 작자의 비판의식을 드러내고 확산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가가 선택된 경우이다. 숙종6년(1680)의 기록인 ⑦에는 신출 시조 작품의 전문이 수록되어 있는데, 표면적으로는 16~17세기에 흔히 나타나는 강호시조의 일종으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이상화된 국가를 강호 공간에 상정하는 적극적 의미마저 내포되어 있다. 때로 ‘강호’가 추상적인 이상향의 의미를 넘어서서 당시의 체제를 전복하고 대체하는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띠기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인조11년(1633)의 기록인 ⑤에 언급된 <상시가>는 17세기 초반이라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한성에서 창작된 작품으로, 인접 시기의 현실비판가사들이 임진왜란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관료들을 대개 포괄적 견지에서 비판하는 반면, <상시가>는 인성군(仁城君)에 대한 부당한 처벌이라는 개별 사안을 초두에서부터 거론하면서 작품을 지은 의도를 명확히 하였다. 또한 “더러는 노래하고 더러는 읊었다.”라는 <상시가>의 연행 방식은 노래로 부르는 방식에서 읊조리는 방식으로 이월되어 가는 조선후기 가사의 향유 양상을 드러내는 사례로도 언급할 만하다. 순조4년(1804)의 기록인 ⑰은 현실비판가사가 한층 빈번하게 지어졌던 18~19세기의 현상을 보여준다. 우선 향촌사족 등 지방의 지식인층이 자신의 뜻을 조정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사 양식을 활용하였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토지 제도와 농민들의 삶에 대한 문제로부터 시작하여 관료 인사를 비롯한 조정의 혼란상을 언급하다가 종국에는 임금의 자질과 성품까지 은연중에 비판하는 내용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조선후기 현실비판가사가 지닌 비판의식의 극단적 수위가 이 작품에 잘 나타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e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ernacular poetry mentioned in Chuan and Gukan(推案及鞫案), interrogation and trial records of fel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venteen relevant records(①~⑰) have been found, among which five important cases(⑤ㆍ⑦ㆍ⑧ㆍ⑫ㆍ⑰) were carefully examined in this paper. If the existing works were newly interpreted and performed, as shown in ⑧ and ⑫,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the works. The record ⑧ of 1682 shows a well-known sijo poem “In the valley where the crows fight with each other~”, the expressions of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oems in sijo anthologie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Especially, its third line “The feathers of an egret washed and washed in clean nature will be stained with blood” is peculiar. This work was accused of being sung to rally the revolutions, so it is presumed that the people of later generations changed the third line, which reminds listeners of the rebellion and slaughter, to more periphrastic expressions. In the record ⑫ of 1733, there appeared gasa poem that is supposed to be Wangsogunwonga. In this case, the performer borrowed the tangible tone of Wangsogun and took a unique way of expressing his complaints about the country. Utilizing Wangsogun’s old story, he criticized politicians who did not intend to protect their people but considered their own welfare. Through such a case, it can be seen that gasa poetry based on history such as Wangsogunwonga had a wide variety of meanings depending on the performer’s intention. Meanwhile, as shown in ⑤, ⑦ and ⑰, Chuan and Gukan contains the mentions related to newly composed Korean vernacular poetry that are not found in any other records. These are the cases that poetry was chosen as a means to expose and disseminate the author’s critical opinion. In the record ⑦ of 1680, a newly discovered sijo poem is included. On the surface, it seems to be a sort of ‘nature poetry’ that is common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but it actually has an active meaning that assumes the idealized state or community to the natural space. Although nature is usually accepted as an abstract ideal in sijo poetry, we can find out in this case that nature sometimes has significance as a political space to overthrow and replace the irrational system of the time. The gasa poem Sangsiga mentioned in the record ⑤ of 1633 was composed in Seoul. While the gasa works of similar period criticized the bureaucrats who failed to properly deal with the Imjin War from a comprehensive standpoint, the author of Sangsiga clarified his intention of composing the work by referring to the individual issue of unjust punishment for Prince Inseong. Also, the way of performing Sangsiga reveals the way of enjoying gasa poetry of the later Joseon era, which had been gradually changed from singing to reciting. Finally, the record ⑰ of 1804 shows the phenomena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hen gasa poems to condemn the politics were composed and diffused more frequently. First, it can be traced that the local intellectuals had utilized the style of gasa to express their thoughts to the court. The gasa poem of ⑰ raised the issues of the harsh tax system and peasants’ hard life, disclosed the chaotic politics, and eventually criticized the king’s incompetency and misconduct. The extreme level of critical mind reflected in gasa poet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well shown in this case.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국문시가 자료의 분포
3. 소재 작품의 내용과 소통 환경
4. 국문시가 자료의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우(Kim Seung u). (2018).『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소재 국문시가 자료의 분포와 특징. 어문연구, 95 (1), 83-119

MLA

김승우(Kim Seung u).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소재 국문시가 자료의 분포와 특징." 어문연구, 95.1(2018): 83-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