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으’ 모음 상승의 통시적 발달과 방언 분화

이용수 288

영문명
The Diachronic Development and Dialectal Differentiation of ‘eo→eu’ Vowel Rasing - Focusing on the Central and the Jeonnam dialect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강희숙(Kang Hui suk)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95輯,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어의 모음 체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수직적 모음 상승 현상 가운데 하나인 ‘어→으’ 모음 상승이 통시적으로 어떠한 발달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이 국어의 지리적 공간으로 어떻게 확대되어 오늘에 이르렀는지를 중부방언과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어→으’ 모음 상승의 촉발 혹은 발달은 18세기 중엽 이후 국어 방언들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이는 ‘으, 어’의 혼기 현상과 관련성이 있으며, 애초에 비어두 위치에서 ‘으→어’의 방향으로 시작되었던 혼기가 19세기 이후 ‘으→어’와 ‘어→으’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진 ‘으, 어’의 혼기는 중부방언이나 서남방언에서는 ‘어→으’ 모음 상승 현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경상도 방언의 경우에는 두 모음의 대립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모음 합류를 야기함으로써 국어 방언 간의 차이 내지 분화를 유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20세기 이후 현대 한국어 방언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으’ 모음 상승의 실현 양상을 중부방언과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대조한 결과 ‘어→으’ 모음 상승이 특히 서울말과 전남방언 모두 실현 환경에 제약이 없을 정도로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부방언의 경우, ‘서울말>충청도 방언>경기도 방언’의 순으로 실현 정도에 차이가 있어 동일한 중부방언이라고 하더라도 하위 방언들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술만으로는 국어의 하위 지역 방언들이 겪고 있는 ‘어→으’ 모음 상승의 전체적인 윤곽이 제대로 파악되었다고 보기 어려운바, 본 연구는 그러한 윤곽의 일단이나마 제공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ing on the central and the Jeonnam dialect, aims to understand how the ‘eo→eu’ vowel raising, one of the vertical vowel raising phenomenon appears in Korean vowel system, showed the diachronic aspects of development and how this phenomenon expanded to geographic space of Korean language today. The result shows that the ‘eo→eu’ vowel raising is related to mixed writing of ‘eu, eo’ which was believed to be appeared after mid 18th century, and was related with the fact that it appeared of both direction ‘eu→eo’ and ‘eo→eu’ after 19th century, which started as only ‘eu→eo’ direction at the non-word initial position. That is, the mixed writing of ‘eu, eo’ with two-way directions became the ‘eo→eu’ vowel raising in the central and Jeolla dialect. This leaded the division of Korean dialects by causing the vowel merger which stops apposition of two vowels in the case of Gyungsang dialect. Meanwhile, the contrastive result of the central and the Jeonnam dialect of ‘eo→eu’ vowel raising which appears in modern Korean dialects after 20th century confirmed that it is actively realized on both Seoul dialect and the Jeonnam dialect. In the case of central dialect, the degree of realization was varied in the order of ‘Seoul dialect>Chungchung dialect>Gyunggi dialect’. This shows the differentiation among subordinate dialects of central area. This research provided the overall outline of ‘eo→eu’ vowel raising which happens in Korean subordinate dialects.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어→으’ 모음 상승의 통시적 발달
3. 현대 한국어의 ‘어→으’ 모음 상승과 방언 분화 양상
4. 요약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희숙(Kang Hui suk). (2018).‘어→으’ 모음 상승의 통시적 발달과 방언 분화. 어문연구, 95 (1), 5-30

MLA

강희숙(Kang Hui suk). "‘어→으’ 모음 상승의 통시적 발달과 방언 분화." 어문연구, 95.1(2018):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