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용수 854

영문명
A critical analysis of discourses of mul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민정(Park Min j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2권 1호, 119~13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 적인 과제와 방향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에 서 실행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은 동화주의적 접근에 기반하고 있고, 그 대상이 이주민 과 그 자녀들에 한정되어 있으며, 문화민족주의적 관점을 토대로 다문화교육이 전통 문화교육과 동일시될 뿐만 아니라 민족정체성의 관점에서 이주민들을 고정관념화하고 있으며, 다문화적 관점에서 기존의 인식론적 지배담론을 해체하는 단계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문화교육의 과제로 본 연구에서 는 다음 네 가지 쟁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서로 다른 문화적 요소들의 만남, 혼재, 교 섭의 과정을 통해 구성되는 가변적이고 역동적인 문화현상을 이해해야 하고, 둘째, 서 로 다른 문화들이 조우하면서 상호작용과 변형을 통해 새롭게 구성되는 정체성의 혼 성성에 주목해야 하며, 셋째, 이주민들과 그 자녀들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제한된 관점 을 넘어 평등, 다름과 공존이라는 삶의 태도 함양을 위한 시민교육으로 다문화교육의 저변이 확대되어야 하며, 넷째, 학교지식의 비판적 재구성을 통해 우리의 인식의 탈식 민화를 추구하고 제국주의적 교육유산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mainly focused on how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empower all students to become knowledgeable, caring, and active citizens in a deeply troubled and ethnically polarized world. It suggests four issue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how multicultural people improvise different cultures contingent upon finite interplay of cultural differenc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culture is not something owned by a bounded group, but exercised by an individual specifically situated at a particular time and place.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beyond the paradigm of the essentialism of identity, should validate complexity and multiplicity in identity construction, a process which constantly produces identity itself anew. It invites us to perceive cultural identity of immigrant people as composed of multiple positions where different identities constantly more through different meanings without any guarantee of authenticity.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s that include ethnic minority problems into the frame of overall minority issues in Korean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only for immigrant people but also for the whole citizens in order to cultivate new citizenship for a multicultural and democratic society. Fourth,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involve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which helps us to understand and investigate how the implicit cultural assumptions, perspectives, and biases within a discipline influence the ways in which knowledge is constructed.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emphasizes how the dominant paradigms about ethnic groups established by mainstream social scientists can be challenged.

목차

I. 서 론
II.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접근
III.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비판적 쟁점
IV. 다문화교육과정의 방향성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민정(Park Min jeong). (2012).한국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 (1), 119-139

MLA

박민정(Park Min jeong). "한국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1(2012): 119-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