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이용수 382

영문명
Critical examination of 2009 revised teacher’s guide book by an asp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경화(Lee, KyeongHwa) 최민영(Choi, MinYo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6호, 667~68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새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안착을 견인하고 현장 교사들의 국어 수업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체제와 내용 구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과 교수 학습 현상 안에서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어떠한 위상과 기능을 갖는지를 정립하고, 최근 교과 수업 전문성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부상한 국어과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측면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나아가 차기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서 PCK 측면의 제언을 덧붙이고자 하였다. PCK라는 분석 기준을 토대로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는 이전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비해 판형과 디자인과 같은 외형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내적으로도 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배경 지식과 참고 자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는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대강화’와 ‘상세화’의 딜레마 속에서 선택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국어 수업의 성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교수 학습 과정의 실제를 구성함에 있어 해당 단원 및 차시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관련된 정보를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수 학습의 과정 및 교수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tried to build up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eacher’s guide book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guide book by an aspect of PCK and attached a suggestion for the next teacher’s guide book development by an aspect of PCK. By an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book I could have the implications as belows.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 books contained practical background knowledge and reference materials which are helpful for teaching as well as advanced format and design in external form.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balance of both the process of elaboration and slimming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more concrete guidance of teaching’s direction is necessary in aspects of actual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Korean Language Subjec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understanding among the PCK components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teaching technique and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목차

Ⅰ. 여는 말
Ⅱ.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위상과 기능
Ⅲ. 국어과 PCK5) 관점에서 본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 기준
Ⅳ. PCK 측면의 교사용 지도서 분석 내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화(Lee, KyeongHwa),최민영(Choi, MinYoong). (2013).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 (6), 667-689

MLA

이경화(Lee, KyeongHwa),최민영(Choi, MinYoong).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2013): 667-6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