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입문기 문자 지도의 변천 과정 고찰
이용수 323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 of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동훈(Gang, DongH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6호, 487~5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초 문식성의 형성은 개개인의 삶에서 여러 모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읽고 쓸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으로, 더 높은 수준의 문식성을 학습하기 위한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입학 초기에 이루어지는 입문기 문자 지도는 학생의 기초 문식성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서 입문기 문자 지도가 무슨 내용을 바탕으로, 어떻게 지도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입문기 문자 지도의 변화 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입문기 문자 지도의 바람직한 지향점을 탐색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 입문기 문자 지도의 변천 과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3차 교육과 정기까지는 의미 중심 지도의 단일 관점을 취하다가, 4차 교육과정기부터 의미 중심과 발음 중심 지도법을 함께 고려하는 절충적 지도법을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의미 중심과 발음 중심 지도를 단순히 병렬시키는 차원에 머무르는 것을 극복하고 진정한 균형을 지향해야 함을 주장하면서, 이 연구에서는 균형의 의미를 읽기와 쓰기의 균형, 의미 중심과 발음 중심의 균형, 한글의 표의적 속성과 표음적 속성의 균형으로 재개념화 하였다. 또한 학생의 실제 문식성 수준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입문기 문자 지도가 필요하며, 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통합 활동의 필요성을 제안함으로써 입문기 문자 지도에 대한 발전적인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The formation of basic literacy in each individual s life has significant meanings in various ways. The reason is that this is a fundamental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and this is a starting point to study higher level literacy. And the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being done when early stage of elementary school entrance has an effect directly on students basic literacy form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on what contents how the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has been instructed i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consider the changing process of the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critically becomes a base to explore a desirable oriented point for the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The results from searching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were as follows. It was shown that the same standpoint of the meaning-centered instruction was adopted until 1th~3th curriculum period and the eclectic instructing method which considers together the meaning-centered instruction and the pronunciation-centered instruction has been applied from 4th curriculum. And this study reconceptualized the meaning of a balance as a balance between reading and writing a balance between meaning-centered and pronunciation-centered a balance between ideographic property and phonogramic property arguing that a true balance should be oriented with overcoming the staying at the dimension of simply parallelizing the meaning-centered instruction and the pronunciation-centered instruction. Also the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is in need on the foundation of researching the actual state of students real literacy level this study prepared the grounds of developmental argument on the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multiple unification activities with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입문기 문자 지도의 분석 기준
Ⅲ.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입문기 문자 지도 분석
Ⅳ.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 일본 국립대학 법인화 전후 총장선출제도의 변화와 특징
- 수업시연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업언어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예비체육교사의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경험 분석
- 국가 교육과정 체제에서 과학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개선 방안 탐색
-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 자유학기제 도입과 중학교 수업 개선 방안
- 입문기 문자 지도의 변천 과정 고찰
-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학습태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체육에서 지각된 자기효능감과 실천적품성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 수학적 추론 중심의 스마트 수업 모형 적용
- 기억의 역사를 통한 비판적 문화재 읽기 실행 연구
- 교육학 연구에서 ANCOVA에 대한 오해와 오용
-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과 해결방안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오감을 활용한 영어지도가 유아의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교육과정 구안
- 2009개정 교육과정 창의ㆍ인성 교육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과 실행
- 뇌 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유아 요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의미 탐색
- 초등교사들이 수업평가에서 주목하지 못하는 수업내용
- 대학생들의 영어사교육 실태 및 인식 분석
- 초등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설계 모형 탐색
-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
- 대안학교 학생들의 과학수업 참여 요인 분석
- 학부모 교육기부 예측요인 탐색
- 공과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관련 요인 탐색
-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사회적 관계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스마트폰 활용 실태
- 서울시 초등학교의 교가(校歌) 분석 연구
- 유치원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지구과학」관련 활동 분석
- 대학생 토익 향상그룹과 하락그룹에 따라 나타나는 학습전략 양상 분석
- 마음챙김명상 기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의 신체활동 환경평가를 위한 학교환경 지표개발
- 국어과 교육과정의 언어관
- 반성적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체육교사들의 사고유형과 씨름의 메타인지 지식 형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좋은 상담교사’에 대한 예비 교원의 인식
- 영어어문교육 제29권 제3호 목차
- From Reading Nonsensical Jabberwocky to Proposing Topics for English Pedag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