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몰입의 발달경향 분석

이용수 412

영문명
Developmental Trends in Learning Flow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희정(Kim, Hee-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2호, 69~9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의 학습몰입의 발달경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시도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1142명의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몰입의 이론적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여 측정도구를 타당화하고,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Scheffe)으로 학교 급 및 성별에 따른 학습몰입의 차이를 인지적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 급에 따른 인지적 몰입 하위요인의 총점은 도전과 능력의 균형, 통제감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에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낮아지다가 고등학교시기에 다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몰입 하위요인의 총점은 과제의 대한 집중은 중학교, 고등학교, 초등학교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자의식 상실과 시간감각왜곡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가면서 낮아지다가 고등학교 때 다소 상승하였으며, 자기목적적 경험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몰입과 인지적 몰입 그리고 정의적 몰입 모두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낮아지다가 고등학교로가면서 다소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통제감과 자의식 상실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 에서 초·중·고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학습몰입, 인지적 몰입, 정의적 몰입은 인지적 몰입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중·고등학생의 학습몰입 발달 경향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학교 급별 특성에 적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erein aims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flow in South Korea. For this, it divided their learning flow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and analyzed sub-factors of each domain. To achieve this, the study validated measurement tools by analyzing the goodness of fit on theoretical models of the learning flow intended for 1,142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ities and provinces in the nation, and analyzed differences in the learning flow by school grade and gender by using ANOVA and Scheff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showed as follows. First, for the summed score of cognitive immersion s sub-factors by school grade was slightly lower in middle school years than elementary school years, and higher in high school years, except for the two following sub-factors: balance between challenge and capability and perceived control. Second, for the summed score of affective domain s sub-factors, the focus on task was high in order of middle, high, and elementary school, whereas loss of self-consciousness and distorted sense of time were lower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nd slightly higher in high school, and autotelic experience was lower as the students move to higher grade. Third, all the learning flow and cognitive and affective immersion were lower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nd slightly higher in high school; statistically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roups in all domains except for perceived control and loss of self-consciousness. Finally, out of the learning flow, and cognitive and affective immersion by gender, the cognitive immer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tendency of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flow, an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grad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정(Kim, Hee-Jung). (2014).학습몰입의 발달경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 (12), 69-90

MLA

김희정(Kim, Hee-Jung). "학습몰입의 발달경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2(2014): 69-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