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문석 문양디자인의 현대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조선조 초상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253
- 영문명
- A Study on a Reconstruction of Pattern Design Found in Hwamunseok - Focusing on The Portraits of Th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성희(Kim, Sung-Hee)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3권,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문석(花紋席)은 ‘꽃문양이 있는 화려한 돗자리’라는 뜻으로, 한국의 화문석은 7세기부터 외국 에서 주문 제작되어 수출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동안 화문석은 인천의 강화에서 생산된 것을 최고로 쳤는데 이는 강화도가 완초 재배에 가장 적합한 기후와 화문석의 제직기술, 염색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산업과 경제 개발로 환경과 경제적 측면 등 여러 가지 여건으로 화문석과 완초 제품이 사양길을 걷게 되었고 제품의 질 또한 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화문석과 완초 제품의 질과 디자인 향상을 위해 인천시와 강화군에서는 화문석개발 사업을 진행하게 되었고, 연구자는 1992년부터 강화의 화문석 디자인 지도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 후 강화군 및 업체와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꾸준히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었다. 연구하는 동안, 재료의 특성상 보관이 어려워 과거의 전통문양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며 남아있는 화문석과 제품들도 소수에 불과했다. 기록
1) 에는 기술자를 궁에서 임명하고 그 수요가 매우 많았음을 알 수 있으나 현존하는 유물이 부족해 전통문양을 재현하기 어려웠다. 그 후, 조선조 초상화에서 완전한 형태의 화문석은 아니나 부분적 으로 문양을 발견 할 수 있었고, 식물문, 동물문, 기하문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신분이 높을 수록 용이나 봉황 등을 화려하고 섬세하게 표현했으며, 낮을수록 문양을 단순하게 표현되었다. 그러나 문양의 양식이나 시대적 변화를 연구하기에 자료가 매우 부족하여, 초상화를 통해 추출된 각각의 문양요소를 하나의 기호로 분해하여 이들을 조합 반복하거나 연결시킴으로써 현대디자인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였다. 재구성의 방법은 모든 문양이 디지털 구현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확실치 않은 문양은 추측하여 재 디자인하였다. 색채는 원래의 초상화 화문석을 기본으로 하였으나 현대에 적합하지 않은 배색은 재 배색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인 전통적 화문석 문양의 재구성이 현대 디자 인에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Hwamuneok means Korea s traditional sedge mat with brilliant flower patterns. According to old literatures, Hwamunseok had been manufactured on order-based and exported to foreign countries since 7 century. The best Hwamunseok among the several craft villages had been produced in Ganghwa (island), Incheon mainly because of local advantages in weather for cultivating sedge and dyeing. Unlikely to rapid industrial/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since 1960 s, sedge craft including Hwamunseok has been declined as an industry.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design of hwamunseok products, In Incheon and Ganghwa local government was carried out the development of the hwamunseok project, and the r esearcher had opportunities in bringing up the hwamunseok design of Ganghwa Island since 1992. After that, the researcher began to survey with the relevances who involved in Ganghwa County, companies, etc. and continued to develop the hwamunseok design development. During the study,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it is difficult to preserve,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traditional patterns of the past, and there were only a few remaining products related to hwamunseok.
According to the records, craftsmen were appointed separately from the palace and found that the demand was very high. However, it was difficult to reproduce traditional patterns because of the lack of existing artifacts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s. While we have a few traditional design pattern applied to the craft works remained, the researcher could reproduce traditional design patterns in Joseon dynasty by full utilization of exploitable pattern found in the Portraits. The portraits in Joseon dynasty with extreme precision and reality show geometric patterns; Lower the social class, simpler the pattern; Higher the class, more brilliant and precise.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data to study patterns or pattern change by a period. The researcher reconstituted each design element extracted through a portrait by dissolving them into a single symbol by combining them with a single symbol and incorporating them into a combination. The method of reconstruction was designed to redesign all patterns to be digitally implemented, and the uncertain patterns were made a guess by designing. The color painting was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but the colors that were not suitable for modern times were cultivated. Therefor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Korean design by applying it to modern design by recognizing traditional hwamunseok designs.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화문석의 역사적 배경
2. 조선조 초상화의 특징
Ⅲ. 문양 분석 및 재구성
1. 초상화의 화문석 문양 분석
2. 디자인 개발을 위한 문양의 재구성
I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노인요양시설의 가구 디자인 특성 비교 분석을 통한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가구 디자인 개발 방안 연구 - 유럽, 미국, 일본 노인요양시설 가구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 생활제품을 위한 陶紙(도지) 소재에 관한 조사 연구 - 레이저 컷팅 기법을 중심으로
- 재구성된 신체이미지의 표현 양상 연구 - 한스 벨머(Hans Bellmer)의 인형시리즈를 중심으로
-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위한 자연친화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섬유 제품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 산업 유휴시설 활성화를 통한 도시공공디자인 가능성 - 인천 아트플랫폼을 중심으로 -
- 한지에 적용 가능한 밀랍기반의 엔코스틱 표현기법 연구 - 콜라주, 왁싱, 인사이징기법 -
- 전서체(篆書體)를 활용한 넥타이디자인 연구
- Bump Map 과 3D Scanning 데이터 융합을 통한 문양 해상도 향상에 관한 연구
- 바우하우스 여성 직조가들의 업적과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
- 다양화된 식생활을 위한 유리그릇 활성화방안 연구
- 디자인 씽킹에 활용되는 창의성 기법이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에 끼치는 영향
- 회화 매체를 활용한 포스트모던 도예의 조형언어 연구
- 에로티즘의 관점에서 분석된 사회 - 고대부터 근세까지 조르쥬 바타이유의 관점을 중심으로 -
- 미디어아트 기반 공공미술에 표현되는 증강현실(AR)의 체험적 특성-《Broadway Augmented》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오트쿠튀르의 변화와 개념 확장에 관한 연구
- 화문석 문양디자인의 현대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조선조 초상화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