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아트 기반 공공미술에 표현되는 증강현실(AR)의 체험적 특성-《Broadway Augmented》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318

영문명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AR) Expressed in Public Art Based on Media Art - Focused on 《Broadway Augmented》 Exhibition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한윤정(Han Yoon Jung)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0집 3권,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 아트 기반 공공미술이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에 의해 표현됨으로써 나타나는 체험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증강현실을 통한 체험적 예술의 공공화 및 공유화로 공공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장소 특정적 (Site-specific) 예술로서의 공공미술을 고찰하고, 미디어 아트가 가지는 공공미술의 특성을 알아보 았다. 또한 새로운 매체로서 증강현실의 개념과 체험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분석 사례인 《Broadway Augmented》전의 진행과 체험 과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을 도출하였 다. 첫째, 증강현실에 의한 개인적 경험의 확장을 확인하였다. 증강현실은 개인적 경험에 의한 관람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개개인의 경험은 작품자체를 구성하는 필수요소이다. 둘째, 증강현실에 의해 관람자인 동시에 사용자로서 개개인이 느끼는 유희적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관람자는 작품을 찾아내고 이해하면서 즐기는 상호작용적 구조를 생성하며 가상이 현실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통해 도시를 탐구한다. 셋째, 증강현실의 장소 특정적 성격을 기반으로 한 유동적 장소성을 확인하였다. 작품의 공간과 시간은 유동적이며 장소는 물리적 공간의 고정된 정체성을 벗어나기 때문에, 증강 현실 작품이 전시되는 공간은 장소 특정성뿐만 아니라 현실과 가상 작품 간의 반성적인 관계의 특정성이 포함되는 장소가 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장소 특정적 미술로 성장해온 공공미술은 증강현실 기술의 적용을 통해 공공장소에 존재하는 정보형식의 예술로 등장하였다. 관람자는 체험 가능한 구조의 예술 작품을 공공장소 에서 관람하게 되며, 가상의 객체와 현실의 장소가 혼합된 공간은 관람자의 능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실재하게 된다. 이러한 체험적 예술의 공공화 및 공유화를 기반으로 증강현실이 표현하는 공공 미술은 다중적 공간과 경험의 사이를 오가는 관계적 특정성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체적 체험 예술은 뉴미디어 시대에 새로운 공공미술의 가능성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media art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and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of public art through the publicization and sharing of experiential art through Augmented Real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examined public art as a site-specific art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in media art. In addition, the concept of the Augmented Reality as a new medium and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analysis of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Broadway Augmented is as follows. First, I confirmed the expansion of personal experience by Augmented Reality. Since Augmented Reality has a viewing structure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individual experience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work itself. Second, it confirms the playful interactions of the individual as a spectator and user as Augmented Reality. The spectator creates an interactive structure that finds, understands, and enjoys the work and explores the city through the possibility that the virtual becomes reality. Third, it confirms the floating place based on the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Since the space and time of the work are fluid and the space is out of the fixed identity of the physical space, the space in which the Augmented Reality works are displayed becomes a place that includes the site-specificity of the reflectiv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virtual works. The public art that has grown into various types of site-specific arts has emerged as an art form of information existing in public plac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e spectator will be able to view the works of art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experienced in a public place, and the space in which the virtual object and the place of reality are mixed is realized by the active interaction of the spectator. Based on the publicization and sharing of these experiential arts, the public art represented by the Augmented Reality can form relational specificities that cross between multiple spaces and experienc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ommunity experiential art will expand the possibility of new public art in the new media ag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Ⅱ. 이론적 고찰
1. 장소 특정적(Site-specific) 예술로서의 공공미술
2. 미디어아트 기반 공공미술의 특성
3. 증강현실의 경험적 특성
Ⅲ. 미디어아트 기반 공공미술에서 나타난 증강현실의 체험적 특성
1. 개인적 경험의 확장
2. 유희적 상호작용
3. 유동적 장소성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윤정(Han Yoon Jung). (2017).미디어아트 기반 공공미술에 표현되는 증강현실(AR)의 체험적 특성-《Broadway Augmented》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20 (3), 1-22

MLA

한윤정(Han Yoon Jung). "미디어아트 기반 공공미술에 표현되는 증강현실(AR)의 체험적 특성-《Broadway Augmented》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형디자인연구, 20.3(2017):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