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자기평가와 정의적 특성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35

영문명
The Effects of Self-Assessment Using Video Recordings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Reducing Speech Anxie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안정민(Ahn Jeong min) 안수정(Ahn Soo Jeong) 유병민(Yu Byeong m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8호, 137~16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발표수업에서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자기평가가 학습자의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2016년 9월부터 8주간 K대학교의 ‘문제 해결과 의사소통’을 수강한 40명을 대상으로 발표수업 전후에 발표불안 검사를 실시하였다. 정의적 특성은 수업흥미, 발표자신감, 촬영저항감, 노출불안 등 네 개의 하위요인으로 상정하여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수준별 집단 간 발표불안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의적 특성을 긍정적․부정적정서로 구분하여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발표수업 이후 발표불안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정의적 특성 전체는 발표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투입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수업흥미와 노출불안이 발표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준별 집단 간 발표불안 점수 차이는 수업흥미, 발표자신감, 노출불안 집단에서 나타났다. 넷째, 정의적 특성의 긍정적․부정적정서 모두 발표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정서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발표불안 감소를 위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교수자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self-assessment by using video recordings affects reducing speech anxiety 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learning on the speech anxiety in class. Questionnaires on speech anxiety were conducted to 40 university students. After presentation, students wrote their speech evaluation essays as self-critique while watching video recordings. The study also explored the effects of interest, confidence, resistance, and exposure anxiety, sub-factor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speech anxiety. 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level group of these sub-factors in speech anxiety was analyz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which was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ity on speech anxiety. Results showed that firstly, overall scores of speech anxiety of learners decreased after presentation which indicated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Secondly, interest and exposure anxiety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dicated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with speech anxiety. Thirdly, the difference between level and group in speech anxiety scores appeared in three sub-factors - interest, confidence and exposure. Fourthly, positive emotionality of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reduced speech anxiety while negative emotionality increased it which shows negative emotionality had a stronger influence than positive emotionality. This paper ends with a suggestion that instructors should play a significant role to alleviate speech anxiety of learners in order to chang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positivel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정민(Ahn Jeong min),안수정(Ahn Soo Jeong),유병민(Yu Byeong min). (2017).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자기평가와 정의적 특성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8), 137-160

MLA

안정민(Ahn Jeong min),안수정(Ahn Soo Jeong),유병민(Yu Byeong min).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자기평가와 정의적 특성이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8(2017): 137-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