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저성취 학생의 가정 내 부모자녀 간 대화 분석:

이용수 221

영문명
The Exploratory Study of Dialogue Among Parents and Their Middle School Low-achieving Children at Hom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허유성(Heo Yu S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8호, 69~9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저성취 학생의 가정 내 삶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자녀 간 대화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자녀가 매칭 된 20가정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녹음자료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7월 사이에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부모- 자녀 간 대화에서 주체별 대화 양(量)의 비율, 형태소별 주요 대화 내용, 긍정·부정정서 구성 비율, 저성취 학생의 행복 수준에 따른 대화 내용 분석 등이다. 대화 내용분석은 방과 후 부모-자녀 간 대화를 녹음한 것을 전사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글자 수’를 기준으로 보면, 대화 양에서 부모의 비율이 자녀에 비해 약 2배 높았다. 둘째, 형태소별 분석을 보면, 명사에서 저성취 학생은 ‘선생님’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고성취 학생은 ‘학원’이 가장 높았다. 셋째, 긍정·부정 정서 간의 비율은 긍정 정서가 43.5%, 부정정서가 56.5%로 나타났다. 저성취 학생은 긍정정서가 58.1%로 부정정서보다 높았다. 고성취 학생은 부정정서가 63.5%로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행복수준이 높은 저성취 집단의 대화 양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많았다. 그러나 부모와 자녀 간 대화 양의 비율은 행복 수준이 낮은 집단이 행복 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더 높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ialogues among parents and children to show the daily life of low-achieving children at home. For this, 20 parent-child pai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alogu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3 to July, 2014.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dialogue participation rate of parents and children, the morpheme-based word frequency, the ratio of positive to negative affections, and the low-achieving students’ characteristic of dialogues according to their happiness levels. This study used the transcripts of parents-children dialogues recorded after school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 key results, first, the amount of parents’ spells was 2 times more than those of their children. Second, according to the noun analysis, low-achieving students used ‘teacher’ most, however, the high-achieving students talke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most. Second, the overall ratio of positive to negative affection were 43.5% and 56.5%. In case of low-achieving students, positive affection, 58.1%, was slightly higher than negative affection. The high-achieving students’ results contrasted sharply with low-achieving students’ ones. The negative ratio was 63.5%.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dialogue based on low-achieving students’ happiness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ss-happy students’ ratio of dialogue participation compared with their par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ore-happy students. However, the more-happy students showed more total amount of dialogu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유성(Heo Yu Sung). (2017).중학교 저성취 학생의 가정 내 부모자녀 간 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8), 69-94

MLA

허유성(Heo Yu Sung). "중학교 저성취 학생의 가정 내 부모자녀 간 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8(2017): 69-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