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 직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역량모델 연구

이용수 1157

영문명
Senior Job Coordinator Competency Modeling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이찬(Lee Chan) 김미애(Kim Mi Eh)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6권 2호, 493~51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 직업 전문가가 수행하는 임무와 과업내용을 직무분석하고, 직무분석을 통해 도출된 필요 지식, 기술, 태도를 유목화하여 역량모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노인 직업 전문가의 수행직무를 분석하기 위해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직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노인 직업과 관련된 내용전문가 패널 6인, 직무분석전문가 1인, 기록자 2인, 전문가 검증단 5인 등 총 1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노인 직업 전문가의 임무(Duty)는 노동시장의 분석, 직종의 개발, 구인·구직자의 연계, 직무역량 강화교육의 실시, 고령자 일자리 사업 홍보, 고령자 직업 평가 등 6개가 도출되었으며, 임무(Duty)별 필요 지식, 기술, 태도를 도출하여 역량모델 도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내용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Duty별 지식(knowledge), 기술(skill), 태도(attitude)를 유목화 함으로써 역량모델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역량은 ‘노인 취업 정책 탐색 역량’, ‘지역 특성별 일자리 지원 개발 역량’, ‘노인 노동시장 분석 데이터 활용 역량’, ‘노인 직종·직무 분석 역량’, ‘노인 경제활동 요구 파악 역량’, ‘노인 인력 수요처 발굴 역량’, ‘구인·구직 현황 분석 기반 네트워크 형성 역량’, ‘노인 교육 전문인력 Pool 구성 및 활용 역량’, ‘노인 교육과정 개발 역량’, ‘노인 직무역량강화 교육 수료 후 사후 지원 역량’, ‘베이비붐 세대 지원 서비스 역량’, ‘홍보물 작성 및 홍보 실행 역량’, ‘홍보 매체 활용 역량’, ‘고령자 직업 평가 자료 수집 역량’, ‘고령자 직업 평가 자료 분석 및 활용 역량’ 등 총 15개 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방향과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competency model by coher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derived from the job analysis on the duties and tasks of the senior job coordinators.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performed duty of the senior job coordinators. Total of fourteen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ing six subject-matter experts, one facilitator, two recorders and five experts to examine the job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the total of six senior job coordinators duties were identified: analyzing the labor market, developing profession, linking job seekers and recruiters, conducting job competency enforcement training, promoting job placement projects, and assessing job placement projects. Also, duty-spec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ere determined and utilized for the competency modeling. By integrating the duty-specifie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e competencies that were acknowledged through the workshop directed by the subject-matter experts were: senior employment policy search competency , regional characterized job support development competency , data usage competency for the senior labor market analysis , senior occupation/job analysis competency , senior economic activity needs identification competency , excavation competency of demands for senior workforce , job seekers and recruiters network providing competency based on current job market analysis , senior training specialist pool development and utilization competency , senior training curriculum development competency , post-training support competency after the senior job competency enforcement training , babyboomer generation support service competency , promotional item development and promotion competency , promotional usage competency of public media , senior job placement project assessment data collection competency , and senior job assessment data analysis and its utilization competency .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opo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찬(Lee Chan),김미애(Kim Mi Eh). (2016).노인 직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역량모델 연구. 한국노년학, 36 (2), 493-513

MLA

이찬(Lee Chan),김미애(Kim Mi Eh). "노인 직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역량모델 연구." 한국노년학, 36.2(2016): 493-5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