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혼 초기성인의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이용수 5

영문명
Latent Profiles based on Loneliness, Adult Attachment, and Motivation for Solitude and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Unmarried Early Adults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이솔아 양혜정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3권 제1호,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을 탐색적으로 도출하여 1인 가구의 증가와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확산으로 홀로 있는 시간이 증가하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미혼 초기성인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18~39세 미혼남녀 6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계층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그 형태에 따라 ‘높은 적응 비외로움’, ‘중간 적응’, ‘낮은 적응 고독’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집단의 적응도가 낮아질수록 외로움,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비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졌고,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의 경우 ‘높은 적응 비외로움’과 ‘낮은 적응 고독’ 집단 간 차이만 유의하였다. 나아가 계층 간에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문제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BCH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높은 적응 비외로움’ 집단은 세 집단 중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대인관계문제 수준은 가장 낮았다. ‘중간 적응’ 집단은 ‘낮은 적응 고독’ 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과 하위척도 중 자신감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낮은 적응 고독’ 집단은 세 집단 중 가장 낮은 자기효능감을 보고하였고, 가장 큰 대인관계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개인의 특성에 따라 내담자의 외로움의 경험과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차별화된 상담방식을 설정하는 데 기반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potential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neliness, adult attachment, and motivation for solitude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early unmarried adults in a social background where time alone increases due to the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 and spread of non-face-to-face communi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633 unmarried early adults aged 18-39. As a result of conducting a latent profile analysis(LPA), three classes were the most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form, they were named as ‘high adaptation non-loneliness’, ‘medium adaptation’, and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s. The lower the group’s adapt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lonelines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non-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In the case of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 and the ‘high adaptation non-loneliness’ group was significant. Furthermore, BCH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 adaptation non-loneliness’ group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self-efficacy and was experiencing the lowest level of interpersonal problems. The ‘intermediate adapt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elf-efficacy and confidence among the sub-scale than the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Finally, the ‘low adaptation solitude’ group reported the lowest level of self-efficacy and was found to be experiencing the greatest interpersonal problem among the three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setting up a differentiated counseling method that can intervene in the client’s experience of lonelines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counseling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솔아,양혜정. (2024).미혼 초기성인의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복지상담교육연구, 13 (1), 1-29

MLA

이솔아,양혜정. "미혼 초기성인의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복지상담교육연구, 13.1(2024):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