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148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은 /Lee, Ji Eun 1 , 조규판 /CHO GYU-PAN 2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3권 제1호, 31~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에게 2022년 4월 11일에서 4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7.0 프로그램으로 261부를 분석하였다.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인지적 유연성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변인의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붓스트랩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인지적 유연성, 정서조절능력, 학교생활적응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 유연성과 정서조절능력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학교생활적응의 향상을 위해 인지적 유연성과 정서조절능력이 함양시켜야 할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research 300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surveyed and 261 students’ data were finally analyzed using SPS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ognitive flexi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ootstrapping was used on the final to prove whether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of mediation variable was meaningfu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ognitive flexi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flexi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cognitive flexi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order to increase school life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in school 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미혼 초기성인의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가족임파워먼트가 성인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의 긍정적 기여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수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학과 적응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한 선후배 멘토링 프로그램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학과 전공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U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가스라이팅 관련 범죄기사 분석: 텍스트마이닝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정신의료기관 환자의 아동기 복합외상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검증
-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장애인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심리치료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Management System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Universit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