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임파워먼트가 성인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의 긍정적 기여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87
- 영문명
- The Effect of Family Empowerment on the Self-Relianc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Contribut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장혜윤 유영준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3권 제1호, 111~1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가족의 임파워먼트가 성인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장애인의 긍정적 기여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성일발달장애인 가족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가족의 가족임파워먼트는 성인발달장애인 자립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체계와 지역사회체계로부터 가족임파워먼트를 획득할수록 장애 자녀의 자립생활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장애인가족의 가족임파워먼트와 성인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 간의 관계에서 장애인의 긍정적 기여에 대한 인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인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장애인 당사자에 대한 자립생활 지원과 함께 가족임파워먼트 수준을 높이고,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기여에 대한 인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empowerment of disabled families on the independent liv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ositive contributions of disabled people i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01 family member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amily empowerment of disabled famili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ndependent liv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hows that the degree of independent living of disabled children increases as family empowerment is obtained from the family system and community system. In addition, the positive contribution of disabled people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mpowerment of disabled families and independent living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s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independent living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family empowerment along with supporting independent living for the disabled, and to strengthen awareness of the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disabled. Implications can be foun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미혼 초기성인의 외로움, 성인애착, 고독동기에 따른 잠재프로파일과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
-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가족임파워먼트가 성인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장애인의 긍정적 기여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수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학과 적응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한 선후배 멘토링 프로그램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학과 전공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U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가스라이팅 관련 범죄기사 분석: 텍스트마이닝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정신의료기관 환자의 아동기 복합외상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검증
-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장애인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심리치료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Management System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Universit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