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령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이용수 3524

영문명
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overty of Single Households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of Amartya Sen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윤강인(Yun Kang In) 강인선(Kang In Seon)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6권 2호, 457~47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인가구의 증가추세에 주목하여 아마티아 센(Amartya Sen)의 역량접근이론(Capability Approach)을 근간으로 중고령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을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9차 한국복지패널조사(2014년도)에서 가구형태를 ‘단독’으로 답한 50세 이상 1인가구 1,578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연령분류기준을 바탕으로 준고령(50-64세), 전기고령(65-74세), 중기고령(75-84세), 후기고령(85세 이상) 1인가구로 분류하였다. 실현능력빈곤영역은 크게 의식주, 건강, 경제, 가족관계, 구조적 실현능력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영역별 빈곤상태를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통해 집단별로 비교분석한 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준고령 1인가구는 주생활, 건강행위, 주택소유, 가족과의 비물리적 갈등, 공적연금가입(수급)에서 두드러진 빈곤상태를 나타냈으며, 전기고령 1인가구는 만성질환에서 현저한 빈곤상태를 보였다. 중기고령 1인가구는 만성질환, 소득빈곤에서 두드러진 빈곤상태를 나타냈으며, 후기고령 1인가구는 의생활, 식생활, 만성질환, 우울, 소득빈곤, 생활비 충족, 주택소유, 기회급여 복지서비스 이용에서 현저한 빈곤상태를 보였다. 연령집단별 다중회귀분석 결과, 준고령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는 우울, 주택소유, 생활비 충족, 소득빈곤, 가족과의 비물리적 갈등이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전기고령 1인가구는 우울, 가족과의 비물리적 갈등, 식생활, 만성질환, 공적연금수급, 의생활, 주생활이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중기고령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는 가족과의 비물리적 갈등, 우울, 소득빈곤, 식생활, 주택소유, 주생활이, 후기고령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는 우울, 가족과의 비물리적 갈등, 식생활이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연령별 1인가구의 지원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poverty of single households according to the Capability Approach of Amartya Sen. The final sample, 1,578 persons living alone and aged over 50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14. And then, classified them into 4 groups by age, ‘The Semi-Aged(Aged 50-64 Years) , ‘The Younger-Old(Aged 65-74 Years) , ‘The Older-Old(Aged 75-84 Years) , ‘The Oldest-Old(Aged 85 over) . The capability to measure poverty of each group were classified by 5 lists ; ‘Clothing, Food, and Housing Life , ‘Health , ‘Economic , ‘Relationships , ‘Structure . ANOVA were used to explain deprivation among groups,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explain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5 lists.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Semi-Aged showed a high rate of negative health behavior, family conflicts, and low rate of housing-life s quality, home ownership, joining Public Pension. The post-65 cohort suffered chronic diseases, income poverty, in common. The Younger-Old had high poverty rate of chronic diseases. The Older-Old experienced high rate of chronic diseases, income poverty. The Oldest-Old experienced low-level Clothing habits and eating habits, income poverty, living expenses, home ownership, Opportunity welfare-service, high-level chronic diseases, depression. This paper findings have suggestions for policy to consider support single households by ag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강인(Yun Kang In),강인선(Kang In Seon). (2016).중고령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한국노년학, 36 (2), 457-473

MLA

윤강인(Yun Kang In),강인선(Kang In Seon). "중고령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한국노년학, 36.2(2016): 457-4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