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학공간의 장소성 분석에 근거한 관광콘텐츠화 방안 : <탁류>를 대상으로

이용수 287

영문명
Tourism contents creation based on place identity analysis of a literary space of
발행기관
대한관광경영학회
저자명
변찬복(Byun, Chan-Bok) 박종호(Park, Chong-Ho)
간행물 정보
『관광연구』제31권 제3호, 69~9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탁류>의 장소성 분석을 통해서 문학작품의 서사가 해당 장소에 어떻게 반영되고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새로운 관광콘텐츠 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텍스트내공간과 텍스트 외 공간, 그리고 렐프의 장소성 3요소(물리적 환경, 인간 경험, 의미)를 적용하여 서사에 나타난 문학공간을 분석하였다. 장소성 분석의 편의를 위해 등장인물의 경험을 행동, 사색, 극적 사건으로 나누었으며 작가시점의 장소성은 배경묘사에서 추출하였다. 행동측면에서 정주사가 미두장 앞에서 봉변을 당하고 미두장->동녕고개->개복동->콩나물고개->둔뱀이를 거쳐 집에 당도하는 길과 개복동 초입->불이촌->월명공원->터널->공동묘지->은적사로 이어지는 태수, 형보와 행화의 소풍 경로가 콘텐츠화 대상으로 나타났다. 사색적 측면에서 정주사의 고유한 자아가 반영된 진정한 장소인 째보선창과 태수가 죽음충동을 떠올리는 월명동 공동묘지를 들 수 있다. 극적사건은 초봉이 형보를 죽이는 장면과 한참봉이 김씨와 태수를 죽이는 장면이므로 동묘의 초봉 집과 한참봉 집을 형상화해야 한다. <탁류>에서 주요 문학공간인 개복동과 둔뱀이는 거의 모든 사건과 등장인물들의 행동이 일어나는 중심적 공간이다. 태수와 형보의 죽음충동에 가까운 성적 광기, 정주사와 초봉의 금전에 의한 혼인, 불륜과 성병과 같은 짙은 우울이 깔린 장소다. 그런가 하면 승재는 이러한 물신숭배와 도덕적 타락에 저항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탁류>의 중심적 텍스트내 공간인 개복동과 둔뱀이를 형상화된 건축물과 공공디자인은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개복동, 창성동, 둔율동 일대에 정주사네, 명님이네, 한참봉 싸전집, 개복동 개명집 등을 실경 형식으로 형상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조선유민들의 물신숭배와 속물적 삶과 같은 부정적 측면을 건축과 공공디자인을 이용하여 미학적으로 표현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how well the literary narrative of was embodied into the literary place from both place identity and authenticity point of view. To this end, Han wongyun's categorization of the literary space and Relph's three factors of place identity were exploited in analyzing the literary space of . The experiences of the characters were divided into behavior, contemplation, and dramatic incident in order to analyze place identity of the narratives. From the behavior point of view, two routes were found as tourism contents: the route in which Jungjusa came back to his home via Zaebo wharf and Gaibokdong and the route in which Taesu went for an excursion. From the contemplation point of view, Zaebo wharf for Jungjusa’s authentic space and Wolmyung mass grave for Taesu’s consciousness of downfall. The two murder incidents were found as the most dramatic incidents. Chobong’ house located in Dongmyo, Seoul also should be embodied in Gunsan. Gaibokdong was described as the place where moral degeneration and recovery were repeated permanently. Zaebo Dock was so-called an authentic place to Jung jusa in that it was the place not only where he put his foot first time but also where he tried to suicide due to the financial difficul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문학공간의 장소성 분석
Ⅴ. 결어와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찬복(Byun, Chan-Bok),박종호(Park, Chong-Ho). (2016).문학공간의 장소성 분석에 근거한 관광콘텐츠화 방안 : <탁류>를 대상으로. 관광연구, 31 (3), 69-90

MLA

변찬복(Byun, Chan-Bok),박종호(Park, Chong-Ho). "문학공간의 장소성 분석에 근거한 관광콘텐츠화 방안 : <탁류>를 대상으로." 관광연구, 31.3(2016): 69-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