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백제 철제갑주의 복원제작

이용수 554

영문명
Restoring production of iron armor of Baekje excavated at Andong ancient tomb of Gildu-ri Goheung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이현상(Lee Hyun sang) 정광용(Chung Kwang yong)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9집 1권, 231~24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2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에서 출토된 갑주를 조사 연구하여 백제시대 당시의 원형으로 복원 제작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보이는 제작기술을 한성시기 갑주의 특징 가운데 일부라고 추정하였다.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갑주는 차양주, 견갑, 횡장판혁철판갑, 이외 접합ㆍ복원되지 않은 다량의 철제 편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3점의 유물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하기 때문에 제작기법을 복원할 수 있었다. 갑주의 복원과정은 유물의 사진촬영, X-ray 조사, 실측, 제작기법 분석, 복원도면 제작, 모델링 제작 및 수정보완 등 각 과정별로 고증과 자문의견을 반영하여 복원품(철판절단, 단조, 표면가공, 리벳, 금태칠, 결합 등)을 제작하였다. 금공위세품 문화가 백제에서 가야, 백제에서 왜로 전해진 양상을 보았을 때 백제유적 출토 갑주 전체를 일본산으로 보는 견해는 문제가 있다. 백제의 경우 갑주류를 부장하기보다는 금속공예품을 중점적으로 부장하는 장례풍습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갑주류의 출토 사례가 적을 수 있다고 본다. 문화재 복원제작은 단순히 외형을 비슷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유물의 상세한 관찰, 관계 전문가의 고증, 제작에 필요한 기술의 복원, 현상의 실측, 도면의 복원, 과학적 분석 등 다양한 학제간 공동 연구를 통하여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description of the restoring production of iron armor at Andong ancient tomb of Gildu-ri Goheung to the original form of Baekje. In this process, the production technology was assumed to be one of the features of armors at the Hanseong Period. Armor at Andong ancient tomb of Gildu-ri consists of Chayangju, Gyeongap, Hoingjangpanhyeokcheolpangap and other iron pieces without joint or restoration. Among them, 3 pieces were restored as they had good preservation status. The restoration process of armor included photograph of relics, X-ray review, actual measurement, analysis of manufacturing technique, restoration drawing manufacturing, modeling manufacturing, revision and complementation, reflection of advisory opinion, and production of restored products (metal cutting, forging, surface processing, rivet, lacquer a piece of metal and joint). As gold work culture was transferred from Baekje to Gaya and Gaya to Japan, there is a view that the whole excavated armor was from Japan. For Baekje, instead of buring armor, they used to bury metal crafts mainly, which may be the reason of the less excavation of armors. The restoring production of a cultural property is not to make similar appearance, but is made possible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including the detail observation of relics, verification of experts, restoration of necessary technology for production, actual measurement of actual image, restoration of drawing and scientific analysi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유물의 외형 분석
Ⅲ. 갑주의 복원제작 과정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상(Lee Hyun sang),정광용(Chung Kwang yong). (2016).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백제 철제갑주의 복원제작. 조형디자인연구, 19 (1), 231-249

MLA

이현상(Lee Hyun sang),정광용(Chung Kwang yong).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출토 백제 철제갑주의 복원제작." 조형디자인연구, 19.1(2016): 231-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