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맞벌이 가구와 홑벌이가구의 자산효과 차이 분석
이용수 143
- 영문명
- Wealth Effects’ Difference Analysis of Dual-income Households and Non-dual Income Household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윤정득(Yoon, Jung duck)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3輯, 130~144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1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KLIPS)를 정리하여 거주 주택의 종류(APT와 APT외)에 따른 맞벌이 가구와 홑벌이가구의 10년 전후(5차년도와 15차년도) 자산유형별 소비탄력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APT거주 맞벌이가구는 연령이 많아질수록 금융자산의 소비탄력성은 작아진 반면에 주택자산의 소비탄력성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홑벌이가구는 연령이 많아질수록 금융자산의 소비탄력성은 커진 반면에 주택자산의 소비탄력성은 더 작아졌다. 한편, APT외 거주 맞벌이가구는 연령이 많아질수록 금융자산의 소비탄력성이 커진 반면에 주택자산과 주택외부동산자산은 변함이 없었다. 홑벌이가구도 연령이 많아질수록 금융자산, 주택자산, 주택외부동산자산의 소비탄력성은 작아졌다. 따라서 APT거주 맞벌이가구는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려 주택자산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홑벌이가구는 안정적인 운영소득과 자본이득을 기대할 수 있는 주택자산을 늘려야 함을 시사한다. APT외 거주 맞벌이가구와 홑벌이가구도 가능한 안정적인 주택자산과 주택외부동산자산에 좀 더 비중을 두어 항상소득을 통한 자산효과로 가구의 안정적인 삶과 국민경제 순환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examine and presenting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of wealth effect which dual-income households and non-dual income households held assets, set aside consumption based on income that have earned direct and indirect by the subject in private consumption, these households.
(2)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used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of 2002 and 2012, and 1355 households of the 5th year and 15 th of the year were 3,852 dual-income households and non-dual income households. To analyze the ten-year difference in the wealth effect, the data were transformed using the logarithm function.
(3) RESEARCH FINDINGS
APT resident dual-income households increased consumption due to rental income and the appreciation by nvesting in real estate more stable. but, non-dual income households is relatively placed emphasis on the accumulation of financial assets. On The other hand, APT non-resident dual-income households is greater the consumption resilience of financial assets by aged. and house equity and other residential real estate
assets were unchanged. In addition to non-dual income households consumption increasing age contains the resilience of financial assets, house equity, residential real estate was analyzed.
2.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veal that APT residence and APT non-resident dual-income households gradually to leave balances and home equit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financial assets. Non-dual income households is to increase the home equity that can be expected from a stable rental income and capital gains rather than
focusing on financial assets suggest.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선행연구 고찰
1. 자산효과의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검토
Ⅲ. 실증분석
1. 분석대상 가구의 일반적 특성
2. 변수의 구성
3. 자산효과 분석모형과 분석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피스빌딩서비스품질 차원구조와 측정모형의 우수성 비교
- 주택 선분양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방안
- Panel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House Sales Prices and Trading Volume
- 매수인 유형이 서울 오피스 가격에 미치는 영향
- 부동산학과 지역사회개발학과의 공생적 발전방안 연구
- 美 사회통합형 용도지역제(Inclusionary Zoning)의 우리나라 도입에 관한 연구
- 지가를 기준으로 한 부산권 지역분석연구(1980-2014)
-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간유형별 거주환경 인식평가 분석
- A Spatial Approach to the Hedonic Pricing of Apartment Attributes
- 사학기관 수익용 기본재산의 위탁개발에 관한 연구
- 백화점형 할인점 개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소비자 행태 및 입지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1
- 맞벌이 가구와 홑벌이가구의 자산효과 차이 분석
-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부동산개발 사전교육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AHP를 이용한 개업공인중개사의 책임 중요도 및 개선방안
- 도시・지역학 전공 대졸자들의 취업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방향
- 한국 주택시장과 주식시장간의 상호 영향력 검정
- 주택가격과 보유세간의 관계 분석
- 건설산업의 클레임 발생원인과 대책
-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 과세표준제도 연구
- 주택재개발사업에서의 공공조합원 참여 제도의 비용-효과분석
- TF-IDF 가중치 모델을 이용한 주택시장의 변화특성 분석
- 마코프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한 주택시장 경기국면 변동 분석에 관한 연구
- 주거특성이 주거만족도와 주거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