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조 首尾吟體 창작현황 및 창작방식에 대하여

이용수 143

영문명
A Study on the Creation Status and Method of Su-Mi-Eum-Che in Joseon Dynasty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이미진 Lee, Mi-ji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43輯, 147~184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문집총간>을 대상으로 조선조 首尾吟體를 창작한 문인 현황을 파악하고 그 구체적인 작법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미음체는 첫 구와 마지막 구를 반복사용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는 詩體의 일종으로 대개 雜體詩의 하나로 인식된다. 宋 邵雍(1011~1077)이 중국 문단에 이를 처음으로 선보인 뒤로 중국에서 뿐만 아니라 조선 문단에서도 적지않 은 문인들이 그의 시에 차운하거나 새로이 모방하였는데, 그 중 대표적인 인물로 尤庵 宋時烈 및 過齋 金正默 등 몇몇의 특정 인물이 거질의 연작시를 창작하였고, 그 외 私淑齋 姜希孟, 息山 李萬敷가 다수의 수미음체를 남 긴 사실을 확인하였다. 수미음체의 작법은 일률적이지 않았는데 기본형을 비롯해 창작양상에 있어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소옹이 그러했듯 첫 구와 마지막 구를 동일하게 처리하는 경우로써 대부분의 작품이이 방식을 준수하였다. 여기에는 소옹의 수미음체에서 구사한 싯구 일부를 그대로 차용하는가하 면, 작가 임의로 새로운 싯구를 중복 처리한 경우가 있다. 둘째, 매편 首聯 첫 구와 尾聯 첫 구에 각각 동일한 싯구를 삽입하는 경우로써 두 편 이상의 작품을 지을 때라야 구사 가능한 방식이 그것이다. 세 번째, 첫 구 첫 단어와 마지막 구 마지막 단어를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 首尾一貫의 형식을 약식 으로 처리하였는데, 이 경우 ‘君恩’을 삽입하였다. 수미음체는 처음과 마지막 구의 반복을 통해 시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강조하고 이에 따른 운율을 형성하였으며, 주제 강화 및 시적 정서의 완결성을 기하여 작품의 구조적 완결성을 확보하였다. 이러한 작법은 근・현 대로 이어져 首尾相關, 首尾雙關, 首尾相應이라는 작법의 하나로 계승되어, 예컨대 김소월(1902~1934)의 <엄마야 누나야>・<진달래꽃>・<산유 화>, 유치환(1908~1967)의 <울릉도>, 조지훈(1920~1968)의 <승무>, 신동엽(1930~1969)의 <산에 언덕에> 등의 작품에서 수미상관의 기법이 준용되었다. 이렇듯 宋代 邵雍에 의해 시작된 이래 오랜 세월 문인들의 작시에 종종 활용되었던 수미음체는 조선조에 수용되어 현대에까지 계승되었으 니, 조선조 수미음체 창작과 현대시의 수미상관(수미상응)의 작법의 연관성 을 고려하여 詩作法의 史的 발달과정을 탐구해보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 되리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writers who had created Su-Mi-Eum-Che in Joseon Dynasty through and find their specific writing techniques. Su-Mi-Eum-Che is a kind of poetry whose basic principle is to repeat the first line and the last line and typically recognized as one of the Jap-Che poetries. Since Song So-Ong(1011~1077) introduced this to the Chinese literary world, not a few literary writers borrowed or imitated such a line to their own poetry in Joseon as well as in China. The representative figures are Uam Song Si-Yeol, Gwajae Kim Jung-Muk and some others who created serial poetries and additionally Sasukjae Gang Hee-Maeng and Siksan Lee Man-Bu who left multiple works of Su-Mi-Eum-Che.The writing techniques of Su-Mi-Eum-Che were not uniform and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basic form in terms of creative writing aspects. The first category is the case that the first line and the last line were treated in the same way as So-Ong did. Most of the works followed this category. Sometimes, some of the lines described in So-Ong's Su-Mi-Eum-Che were borrowed as they were, but other times, new lines were overlapped on writer's own discretion. Second, this category is the case that the same line was inserted into the first line of the first stanza (1stand 2nd line in a style of Chinese verse) and the last line of the last stanza (7th and 8th line in a style of Chinese verse) for every poem. This is available only if more than two works are created. Third, this category is the case that the first word of the first line and the last word of the last line were treated in the same way: the form of Su-Mi-Il-Gwan(consistent beginning and end). In this case, the word ‘royal benevolence (favor of lord)’ was inserted. Su-Mi-Eum-Che emphasized the meaning that a poet aimed to convey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first and the last line and accordingly formed a rhythm and reinforced subject and raised completion of poetic feeling to obtain structural completion of works. This writing technique was succeeded to one of these writing techniques: Su-Mi-Sang-Gwan, Su-Mi-Ssang-Gwan, and Su-Mi-Sang-Eung in modern times. For example, Su-Mi-Sang-Gwan techniques were applied into Kim So-Wol(1902~1934)'s , Yu Chi-Hwan (1908~1967)'s , Jo Ji-Hun(1920~1968)'s , and Shin Dong-Yeop(1930~1969)'s . Like this, the Su-Mi-Eum-Che that had often been used in literary writers' poems for long years since its beginning by So-Ong in Song period was accepted in Joseon period and succeeded to this modern times. Therefore, it seems to become a significant work to explore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poetics by taking into account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reation of Su-Mi-Eum-Che in Joseon period and the writing technique of Su-Mi-Sang-Gwan(Su-Mi-Sang-Eung) in modern poems.

목차

1. 머리말
2. 조선조 수미음체 창작현황
1) 창작현황 2) 대표작가
3. 수미음체의 다양한 창작방식
1) 첫 구와 마지막 구의 반복 2) 首聯 첫 구와 尾聯 첫 구의 반복 3) 첫 단어와 마지막 단어의 반복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진,Lee, Mi-jin. (2015).조선조 首尾吟體 창작현황 및 창작방식에 대하여. 대동한문학, 43 , 147-184

MLA

이미진,Lee, Mi-jin. "조선조 首尾吟體 창작현황 및 창작방식에 대하여." 대동한문학, 43.(2015): 147-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