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敦煌 莫高窟 第158窟에 내재된 불교사상 연구

이용수 365

영문명
A Study on Mogao Cave 158 with Buddhism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최재목(Choi, Jae-Mok) 조숙경(Jo, Sook-Gyeong)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1輯, 337~37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7.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敦煌 莫高窟 가운데, 唐代의 吐蕃 점령기에 조성된, 第158窟에 내재한 불교사상을 연구하려는 것이다. 158굴에서는 소조와 벽화에 있어서 높은 작품성과 질서가 느껴지는데 이는 당대의 완성도 높은 불교문화와 토번통치기라는 시대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158굴의 경변화는 전시대인 수대보다 내용이 더 복잡해지고 경변의 수도 많아진다. 당대에 조성되어진 돈황석굴 중에서도 토번 통치기라는 특수한 상황 안에서 조성되어진 158굴 연구는 당대의 중국화 되어가는 과정에 있는 불교가 토번의 문화와 사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예술로 승화시켰는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돈황미술연구에 일조하고자한다. 이 논문에서는 굴의 전체적인 구도를 파악한 후 서ㆍ남ㆍ북벽의 소조상과 동ㆍ서ㆍ남ㆍ북벽의 벽화를 살펴보고, 벽화로 그려진 경변을 경전의 내용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의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첫째, 158굴에 세벽에 안치된 소조상을 통하여 과거불, 미래불, 현세불인 삼세불이 있으며, 천정의 정토변으로 표현된 10방불들과 어우려져 화신불, 법신불, 보신불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158굴은 당대 중기의 토번통치기의 굴이다. 당대는 측천무후와의 정치적 역학관계가 이입되어 공고해진 화엄사상의 흐름이 이 시기까지 지속되었으며, 대승의 교리 또한 깊어진다. 소조상과 경변의 짜임새 있는 배치와 함께 경을 해석하여 그림으로 옮길 때 국가 수호의 의지도 곁들여 놓았다. 또한 다양한 경변화와 함께 천정에 그려진 천불과 보살들의 그림에서는 수행을 통하여 누구든지 깨달음을 받을 수 있다는 평등한 사상이 158굴 안에 내재되어있다. 셋째, 158굴은 벽면 곳곳에 보살상들이 보이는데, 현실 뿐 만아니라 시방세계, 모든 세계에 상주해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하고 있다. 서벽, 남벽, 동벽의 벽화에 내재된 보살이 현세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 구제라는 대승적인 의미가 천정의 정토변에 이어져 있으며, 이것으로 대승사상과 정토사상 그리고 밀교사상이 복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158굴은 긴 장방형의 전실의 사방 벽과 천정의 공간을 질서 있게 배치하였다. 삼세불의 입상을 통하여 과거, 현재, 미래에도 부처가 존재하며, 동,서,남,북 뿐만아니라 간방(間方)까지 합쳐 삼라만상 어디에나 부처가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시방삼세불(十方三世佛)은 밀교에서 강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만다라적 구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불교의 성행과 아울러 토번통치기의 민중들의 애환을 달래주고자하는 의도가 함께 담겨 있는 부분이다.

영문 초록

Mogao Cave 158 in Dunhuang(敦煌 莫高窟 第158窟) was built under the occupation of Tufan(吐蕃/土蕃/土番), the Tibetan Empire. The sculptures and iconographic wall paintings called Gyeongbyeon in Mogao Cave 158 include the Buddhism of the Tang Dynasty. Gaseop, the Buddha of past, Seokga, the Buddha of present, and Maitreya, the Buddha of future were molded on the south wall, the west wall, and the north wall. Geum-gwang-myeonggyeong-byeon and Sa-ik-beom-cheon-so-mun-gyeong-byeon were painted on the east wall that faces the statue of nirvana enshrined on the west wall. In addition, Yeo-ui-ryun-gwan-eum-mandala, a round Buddha’s picture was painted on the door of the east wall. On the ceiling, Jeong-to-byeon, Cheon-bul-do, and Bo-sal-do were painted. I studied the sculptures and the mural paintings of Cave 158 with Buddhist scriptures. This paper includes three points as below. The center of this cave is the Buddha statue of nirvana enshrined on the west wall. On its one side, the statue of the past buddha Gaseop stands, the south wall. On the other side, the statue of the future buddha Maitreya stands, the north wall. On the wall behind the Buddha statue of nirvana, there are the paintings of Bosal(Buddhist saints’ images), Na-han-yeol-sang, Sa-cheon-wang-sang(four Devas’ images), Cheon-ryong-pal-bu. At the bottom of this wall, there is Su-bal-da-ra-seon-bul-ip-myeol-do. There is the painting of Mourning Disciples(Je-ja-geo-ae-do) on the south wall, and the painting of Mourning Potentates(gak-guk-guk-wang-geo-ae-do) on the north wall. These works don’t seem to be just the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when Buddha entered into nirvana. One description of nirvana of Buddha recorded in Dae-ban-yeol-ban-gyeong written by Dam-mu-cham mentioned like this:“The holy body of Buddha is unchangeable and immortal, so all living beings have the nature of Buddha. That is the thought of Mahayana Buddhism.” Buddha entering the nirvana in reverence means the thought of Beopsin. Buddha appears as the body of the truth. Beopsin is Buddha that is the body of the truth itself and shows the truth as it is. The past Buddha Gaseop and the future Buddha Maitreya are the Buddha of Hwasin. Buddhas enshrined on the Buddha land in Jeong-to-byeon painted on the ceiling are the Buddha of Bosin. In Cave 158, there are Buddhas of Three Ages, those are the Buddha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the Buddhas of Three Ages lead to the Buddha of Hwasin, the Buddha of Beopsin, and the Buddha of Bosin with Buddhas on the Pure Land in the ceiling. Mogao Cave 158 was built under the occupation of Tufan in the Middle Tang period. During the Tang Dynasty the stream of Hwaeom Idealism was settled and continued, and Mahayana Buddhism became profound. Well-organized arrangement of the sculptures and the wall paintings derived not only from the interpre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but also from the will of protecting the country. The wall paintings of Gyeongbyeon and the ceiling paintings shows each and every person can find enlightenment through practicing asceticism. That is the ideology of equality presented in Cave 158. The sculptures and paintings on the walls and the ceiling are expanded version of the mandala composition whose scale is expanded to the entire cave. We can find a lot of images of bodhisattva all over the walls. That tells us bodhisattva exists in everywhere in the ideal worlds as well as the real world. These bodhisattvas save the people in sufferings in this world, and that is Mahayana Buddhism. The thought of Mahayana Buddhism, Buddhist Elysium, and Esoteric Buddhism are compounded and connected to Jeong-to-byeon in the ceiling. The statues of Buddha mean that Buddha exists everytime, in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ose also show us Buddha exists every directions and everywhere in the universe. All of these are intended for the prevalence of Buddhism and for comforting the people in hard tims of the occupation

목차

Ⅰ. 서언
Ⅱ. 唐代 토번통치기의 시대적 배경과 불교
Ⅲ. 158굴에 대하여
1. 구조
2. 조각과 벽화
Ⅳ.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재목(Choi, Jae-Mok),조숙경(Jo, Sook-Gyeong). (2014).敦煌 莫高窟 第158窟에 내재된 불교사상 연구. 동양철학, 41 , 337-370

MLA

최재목(Choi, Jae-Mok),조숙경(Jo, Sook-Gyeong). "敦煌 莫高窟 第158窟에 내재된 불교사상 연구." 동양철학, 41.(2014): 337-3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