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약용 經世書의 鄕禮 규정과 공동체 운영의 특징

이용수 633

영문명
The Characteristic of Hyangnye (鄕禮) Regulation and Community Operation which are Stated in Chŏng Yak-yong(丁若鏞)'s Statecraft Publications - focusing on the Contents about Hyangnye in the Kyŏngse yup’yo(經世遺表) and the Mongmin simsŏ (牧民心書) -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백민정(Baek, Min-Jeong)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1輯, 197~23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7.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茶山 丁若鏞의 經世書에 나타난 ‘鄕禮’에 관한 규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후기 유학자가 꿈꿨던 이상적인 인륜 공동체의 모습과 특징이 어떠했는지 분석한 것이다. 단독 저술이 없었기 때문에 향례에 대한 다산의 관심이 士家禮, 王朝禮, 邦國禮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평가받았다. 하지만 『경세유표』, 『목민심서』 등 다산의 경세서에는 향례에 관한 발언이 적지 않게 등장한다. 정약용은 16세기 이래 주자학 이념에 근거한 지방 사족층의 향례 운영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그렇다고 다산이 향례의 가치를 무시하거나 중앙에서 파견된 목민관의 법치적 통치로 향례 전통을 대체해야 한다고 본 것은 아니다. 그는 『경세유표』에서 『주례』의 ‘考工記’ 분석을 통해 서울의‘六鄕制’를 복원했고, 육향의 鄕官(敎官)이 시행했던 향례의 내용과 절차를 소개했으며, 이를 준거로 지방 목민관이 각 지역 향교에서 정기적으로 鄕射, 鄕飮酒, 饗孤 등의 향례를 시행하도록 향례의 상세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했다. 다산이 생각한 이상적 공동체는 선생ㆍ선배에 의한 후생ㆍ후배의 敎化, 양자 사이의 신분등급의 구별과 차등성을 전제로 한 것이다. 정약용도 일반 유학자처럼 정치와 도덕을 동일한 원리로 이해했고, 정치를 아직 도덕적 인격에 이르지 못한 백성을 지도해서 감화시키는 교육 행위와 같다고 보았다. 이 때문에 특히 선생과 후생 사이에 엄격한 구별이 있어야 하며, 이 구별에 합당한 차등적인 사회적 대우와 禮制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18세기 후반 家禮와 鄕禮 등의 무분별한 시행을 보면서 禮의 변별 정신을 상실했다고 본 다산은, 보수적으로 보일 만큼 정교하게 차별화된 禮治 시스템을 제안했다. 차별적인 예제를 준수하면서도 공동체 구성원 모두 동일한 ‘孝弟慈’의 이념을 추구한다고 본 점에서 정약용은 자기 철학의 보편성,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일한 도덕이념의 추구가 유교사회의 신분적 제약과 차별을 얼마나 상쇄시켰고, 공동체 구성원의 공존과 협업을 가능하게 했는지도 비판적으로 분석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essay examines the regulations about Hyangnye (鄕禮, rituals of a community) which appeared in Chŏng Yak-yong (丁若鏞)'s statecraft publications and analyzes the figure and characteristic of an ideal of ethical community what a scholar in late Joseon dynasty dreamt of. Chŏng Yak-yong has been evaluated that his interest in Hyangnye was relatively little than the interest in Sakarye (士家禮, rituals of a gentry and family), Wangjeorye (王朝禮, rituals of a royal family), and Pangkungnye( (邦國禮, rituals of a state), because he had no exclusive publication which is only written about Hyangnye. However, he often mentioned about Hyangnye in his statecraft publications such as the Kyŏngse yup’yo (經世遺表) and the Mongmin simsŏ (牧民心書). Chŏng Yak-yong criticized that the community operation which was conducted by the local-gentry class, who were based on neo-Confucian ideology since the 16th century, was not functioning well. However, this fact does not mean that he discounted the value of Hyangnye or thought that Hyangnye should be displaced to governor‘s ruling by law. In the Kyŏngse yup’yo, he restored Seoul's yuk’yangche (六鄕制) by analyzing kokongki (考工記), a chapter in the Rites of Chou (周禮), introduced the content and procedure of Hyangnye which were conducted by yuk’yang (六鄕)'s hyangguan (鄕官, 敎官), and arranged the detailed standard and procedure of Hyangnye to make a local governor possible to carry out Hyangnye, such as hyangsha (鄕射), hyangyemju (鄕飮酒), and hyanggo (饗孤), regularly in local school. The ideal community that Chŏng Yak-yong dreamt of was based on the younger and protege's edification, which is led by older and senior, and the distinction and difference (辨等, pyongtun) of their social hierarchy. He understood, as another Confucian scholars did, that politics and morality are in a same principle and considered that politics is an educational act which edifies and directs the people. Therefore, he believed that strict distinction between younger and older should be exist, and based on it, a graded social treatment and ritual system should be followed. As observing the thoughtless implement of Karye (家禮) and Hyangnye (鄕禮), he thought that rituals lost it's discrimination. Thus, he suggested a elaboratively graded Yechi (禮治) system which looks conservative. Chŏng Yak-yong respected the discriminative ritual system and also emphasized the ideology of ‘filial piety (孝)‧brotherly love (弟)‧compassion (慈)’, which all community member pursued as equal. This fact shows that he seems to have tried to obtain the universality and legitimacy of his philosophy. However,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analyze with a critical eye how much his pursuing an equal-moral ideology offset the restriction and discrimination caused by Confucian social hierarchy and made the community member's coexistence and cooperation possibl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경세유표』의 六部・六鄕制와 鄕禮 규정
3. 『목민심서』 禮典 六條의 鄕禮:
중앙・지방의 行禮 체제 통일
4. ‘辨等’의 위계질서와 ‘孝弟’의 이념을 추구한 유교 공동체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민정(Baek, Min-Jeong). (2014).정약용 經世書의 鄕禮 규정과 공동체 운영의 특징. 동양철학, 41 , 197-232

MLA

백민정(Baek, Min-Jeong). "정약용 經世書의 鄕禮 규정과 공동체 운영의 특징." 동양철학, 41.(2014): 197-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