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구용 시의 무장소성 연구

이용수 390

영문명
A Study of the Placelessness in Kim Kuyong's Poetry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수명(Lee Su myeong)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68집,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세기 말에 발전한 담론인 장소 개념에 입각해 김구용 시를 분석한 것이다. 추상적인 공간에 인간의 실천이 가미되어 삶의 내용과 의미가 실릴 때 장소가 된다는 장소론은 장소성이나 장소 정체성으로 설명된다. 이것은 거주의 경험에 의해 장소에 대한 친밀감과 유대가 생길 때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장소성이 불가능해지고 장소가 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 무장소성이 등장하게 된다. 장소의 상실이라고도 불리는 무장소성은 다양한 원인과 양상으로 전개된다. 김구용의 산문시는 특유의 산문성으로 인해 서사적 공간 설정이 많은데, 대부분이 전통적 장소성보다는 무장소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김구용 시의 무장소성의 양상을 네가지로 살펴보고 있다. 전쟁으로 인한 폐허와 혼란이 보여주는 장소의 파괴, 상품화된 성이 모든 장소를 침범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부조리한 장소화, 그리고 문명화, 획일화되는 도시에서의 장소 상실감과 이동하거나 스쳐 지나가는 것에 불과해진 장소의 일시성과 불안정성 등이다. 김구용 시의 무장소성은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현대적 삶과 사유를 해명하는 유효한 기제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alyzing Kim Kuyong's poems with the concept of the ‘place/placelessness’ which has been developed by geographic academics since 1970s. The “place” is only possible and different from the undefined space on the condition that some extent familiarities and emotional ties exist.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made the traditional placeness increasingly impossible and made a way to placelessness, in which the place hardly functions. Kim Kuyong's prose poems presuppose kinds of narrative spaces, most of which are understood having the placelessnes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placenes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ur aspects of the placelessness in Kim Kuyong: the destruction of the places by the war, the deformation of the place to the level of absurdity by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the feeling of placelessness triggered by the standardization of urban landscapes, and the ephemeral and unstable nature of traffic spots. The placelessness in Kim Kuyong is understood seminal for the elucidation of the otherness of modern life.

목차

Ⅰ. 머리말
Ⅱ. 장소성과 무장소성
Ⅲ. 김구용 시의 무장소성
1. 전쟁과 장소의 파괴
2. 상품화된 성과 부조리한 장소
3. 획일화된 도시와 장소 상실
4. 장소의 일시성과 불안정성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명(Lee Su myeong). (2014).김구용 시의 무장소성 연구. 한국문학논총, 68 , 1-23

MLA

이수명(Lee Su myeong). "김구용 시의 무장소성 연구." 한국문학논총, 68.(2014):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