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and Derived Relational Responding within Symmetry and Transitivity of Stimulus Equivalence
이용수 205
- 영문명
- 다중반응교수가 자극등가의 대칭관계와 타동성관계 안에서 보이는 파생적 언어반응의 출현에 미치는 영향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숙(Hyesuk LeePar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9권 제1호, 263~281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3,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자극등가관계 안에서 보이는 파생적 언어반응의 출현에 다중반응교수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MEI)가 보이는 효과를 점검하였다 다중프로브가 동반된 비 동시 중다 기초선 계획이 이용되었고 네 명의 자폐성 아동들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당시 아동들의 나이는 4세였다. 세 셋트의 자극이 이용되었고, 각 셋트에는 네 개의 자극 등가 군이 포함되었다. 각 자극 등가 군에는 시각적 자극인 상징/그림, 또 한 유형의 시각적 자극인 그에 상응되는 인쇄된 단어, 그리고 청각적 자극인 발화된 음성 단어로 이루어 져 있었다. 첫 번째로 하나의 셋트를 가지고 두 유형의 시각적 자극에 대한 청자반응 (청각자극-시각반응) 혹은 화자 반응 (시각자극-청각 반응)에 대한 교수가 이루어 졌고, 둘 째, 교수되지 않은 반응이 자극등가의 대칭관계 (시각자극-청각반응 혹은 청각자극-시각반응) 와 타동성 관계 (시각자극-시각반응)의 파생적 언어반응의 출현을 점검하기 위한 프로브가 실행되었다. 대상자에게서 분명한 파생적 언어반응의 보이지 않아, 세 번째로 다중반응교수(MEI)가 실시되었다. 다중반응교수 동안에 대상자들은 다른 자극 셋트를 가지고 자극등가의 대칭관계와 타동성관계 안에서 반응하는 교수이력을 형성하였다. 네 번째, 다중반응교수 후 원래의 자극 셋트로 돌아가 파생적 언어반응을 다시 프로브 한 결과 모든 대상자가 분명하게 파생적 언어반응을 보였다. 위 반응의 일반화를 점검하기 위해 새로운 자극 셋트로 같은 절차를 거쳐서 파생적 언어반응의 유무를 점검하였고 모든 대상자들이 새로운 자극에 대해서도 분명한 파생적 언어 반응을 보여주었다. 위의 결과로 모든 대상자에게서 다중반응교수가 안정적으로 파생적 언어반응이 유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Effects of Naming and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MEI) on derivational responding within stimulus equivalence relations were rested within a non-concurrent multiple baselines across the participants with multiple probes design. Four 4-year ol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sets of stimuli which consisted of four stimulus equivalence classes were used for participants. Each stimulus equivalence class was comprised of pictures or symbols as visual stimuli, corresponding spoken words as auditory stimuli, and printed textual counterpart of the pictures or symbols as another class of visual stimuli. First, the participants received instruction on listener relations co the visual stimuli (auditory-visual) or speaker relations (visual-auditory). Then derived relational responding within symmetry (visual-auditory or auditory-visual) as Naming and within transitivity (visual-visual) as receptive comprehension of printed words were reseed with the same set of stimuli. Seven out of eight participants didn't show the emergent responding in transitivity until they received explicit instruction on responding within symmetry and transitivity relations through MEI with another set of stimuli.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Naming, MEI for establishing reinforcement histories with particular relational frames, derived responding within stimulus equivalence relations as frames.
목차
요약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and Derived Relational Responding within Symmetry and Transitivity of Stimulus Equivalence
- 장애학생 청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실태
- 교육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인식 및 관계 연구
- 학교현장실습과정에서 예비특수교사의 교수설계 경험과 성장에 대한 고찰
-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연구
- 장애유아 의무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지원 요구
- 정서ㆍ행동문제 유아 체계적 선별(ESP) 타당화를 위한 기초연구
- 학습부진 중학생의 주의체계와 문식성
- 다문화가정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의 교육과 지원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1-100위권의 4년제 대학에 입학한 청각장애학생들의 실태조사
- 활동중심 국어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 배드민턴 프로그램 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신체적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아동의 비장애 형제자매 지원중재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 지적장애특수학교 중등교육프로그램 구성요인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과 성취기준 분석
- 장애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 장애학생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성공적 전환을 위한 지원요소 및 실행방안
- 국제 학술지 분석을 통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관련 보조공학 도구 연구 동향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따른 진로적응력 차이 및 영향 요인
-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수학기초학습능력, 읽기와 언어능력, 인지처리능력 프로파일 분석
- 학습장애 선별검사(LDST-S)의 타당성 탐색: 학습지원대상학생 판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