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장애특수학교 중등교육프로그램 구성요인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이용수 274

영문명
The Percep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박영근(Park, Yung Keun) 조인수(Cho, In Soo) 이건성(Lee, Gun Su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9권 제1호, 89~104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3,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에 성공적인 성인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양질의 특수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프로그램 질적 향상을 위한 요구를 알아보고, 둘째,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질적인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 실현을 위해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섯 가지 중등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즉,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 중에서 전환교육의 질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서 실제 학교의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은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반면에 문서화 작업 등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교사들은 인식한다. 현재 지적장애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속에서 실제적인 직업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기반교수에 의한 직업훈련이 가장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전공과 교사들이 고등부 교사들에 비해서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등의 질적인 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크게 인식하고는 있지만, 실제적인 프로그램 운영의 질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order co live a successful lif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need to be provided high-quality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to evaluate the current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in order to provide the foundation knowledg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We first ask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share their perceptions on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and then asked them if these components were implemented in their classroom. Second, we studied how background variabl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rogram quality. The study included a survey of 10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middle-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mong five quality components of program, includ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operation, transition, documentation, and administration support, the quality of transition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perceived transition co be the most important, bur the quality of transition was perceived as relatively low. Documentation was being done most satisfactorily.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content-area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quality of program to be more important tha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근(Park, Yung Keun),조인수(Cho, In Soo),이건성(Lee, Gun Sung). (2014).지적장애특수학교 중등교육프로그램 구성요인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특수교육학연구, 49 (1), 89-104

MLA

박영근(Park, Yung Keun),조인수(Cho, In Soo),이건성(Lee, Gun Sung). "지적장애특수학교 중등교육프로그램 구성요인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특수교육학연구, 49.1(2014): 89-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