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암흑기’를 넘어 텍스트‘들’의 심층으로

이용수 539

영문명
The Depth of Text's’ Beyond ‘The Dark Ages' -Review on researchers of Park, Tae-won's literature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오현숙(Oh, Hyun-sook)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9집, 59~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제 말기 박태원의 작품 활동은 사소설, 대중소설, 역사소설, 소년소설, 동화 등의 창작과 중국고전 번역 등을 포함한 폭넓은 것이었다. 이들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근대 시민사회의 문학 양식인 ‘소설(novel)’로 수렴되지 않거나 기존의 문학사 서술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텍스트‘들’이다. 박태원의 경우 좁은 의미의 서구적인 미학의 틀로 한국 근대문학의 성취를 확인하려는 문학사적 구도 아래 반복적으로 모더니스트로 호명되어온 경향이 있다. 또 일제 말기를 ‘암흑기’로 간주하면서 문학적 불모성을 강조하는 문학사 기술에 의해 박태원의 일제 말기 텍스트‘들’은 연구대상에서 배제되거나 과도기의 글쓰기라는 한정된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일제 말기 박태원 문학 연구의 새로운 흐름은 모더니스트로서의 박태원이라는 문학사적 기술의 구도에서 배제되었던 다양한 작품군들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 시도로 요약해 볼 수 있다. 탈식민주의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일상사 연구의 성과를 수용하면서 그 동안 연구의 대상에서 소외되거나 부정적 평가를 받았던 작품들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또 아동문학과 번역문학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박태원 문학 연구의 지평이 확장되고 있다. 물론 저항과 대일협력의 가치 평가 문제에 대해서는 연구의 쟁점을 형성하고 있지만, 반대로 이는 그만큼 일제 말기 박태원 문학의 다채로운 성격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박태원의 일제 말기 텍스트‘들’이 신체제담론과의 접속과 동화라는 완료점으로 나아간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가능성을 지니고 분해나갔던 텍스트‘들’이었음을 인식해야만 그의 다양한 서사 양식의 실험과 창작이 온전히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일제 말기 박태원의 작가의식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서사 양식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자의 유연한 관점이 요청된다. 이 시기 그의학 창작은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중국문학과 한국문학, 성인문학과 아동문학의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든다. 분과학문체계로 구축된 분절적인 문학 연구를 넘어서 이질적인 작품 간의 내적 연관성을 규명할 수 있는 문학 연구가 앞으로의 연구에 남겨진 시급한 과제이다. 박태원 문학의 역동적인 특성을 살피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이 서로 관계 맺는 다양한 방식을 추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양한 텍스트‘들’이 만들어 내는 관계의 구조를 통해 일제 말기 박태원의 문학이 갖고 있는 성격을 비로소 총체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works of Park, Tae-won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has a wide range activities including the creation of autobiographical novels, popular novels, historical novels, juvenile novels, fair tales and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These works are rejected to ‘Novel’, modern civil society’s literary form in common or neglec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xisting literary relatively. In the case of Park, Tae-won, he tends to be called as a modernist repeatedly under literary composition to check the achievement of Korea’s modern literary with western aesthetic framework in a narrow sense. In addition, Park, Tae-won’s texts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have been excluded or received limited evaluation of transitional writing by literary techniques to emphasize literary barrenness, regard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as ‘The Dark Ages’. However, the new trend of Park, Tae-won’s literature research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can be summarized as an attempt to give a new meaning to various work groups excluded from the composition of literary description of Park, Tae-won as a modernist. While accepting criticism for postcolonialism and results of researching alltagsgeschichte, it moves toward the direction to find a new meaning for works marginalized from the subject of the study or received negative evaluation in the meantime. The horizon of Park, Tae-won’s literature research has been extended based on the results on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literature recently. Of course, with respect to the valuation for resistance and cooperation with Japan, an issue of the study has been formed, on the contrary, this disprov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ark, Tae-won’s literature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However, regarding texts of Park, Tae-won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experiment and creation of his various descriptive forms can be fully evaluated only if recognizing them as text’s’ decomposed with various potential rather than advancing to access to the discourse of new system and the complete point of collaboration. Further,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of an author, Park, Tae-won’s literature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flexible point of view of researchers crossing the boundary of a variety of descriptive forms is requested. His literary creation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Chinese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adult literature and children’s literature flexibly. Beyond segmentally literature study established with discipline system, literary studies to identify intrinsic association among disparate works are urgent tasks left in the future study. To examine Park, Tae-won’s literature’s dynamics, it’s essential to track various ways interrelated with the works of several genres. Park, Tae-won’s literature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has features will be able to see in general through the relation structure various texts create.

목차

1. 서론:관습화된 문학사적 구도를 넘어서
2. 저항과 협력의 다양한 스펙트럼 - ‘신변잡기’에서 우회적 저항으로
3. 대중소설을 통한 식민지 일상의 재발견
4. 새로운 박태원 문학 연구의 과제들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현숙(Oh, Hyun-sook). (2013).‘암흑기’를 넘어 텍스트‘들’의 심층으로. 구보학보, 9 , 59-82

MLA

오현숙(Oh, Hyun-sook). "‘암흑기’를 넘어 텍스트‘들’의 심층으로." 구보학보, 9.(2013): 59-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