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mparison of consonantal allophony in Polish and Korean

이용수 64

영문명
폴란드어와 한국어 자음의 변이음 비교
발행기관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저자명
에밀리아 솰코브스카-김(Szalkowska-Kim, Emilia)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14권 제1호, 177~19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2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폴란드어와 한국어 자음의 변이음을 비교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모음의 변이음은 그 수가 매우 적고 대부분 동시 조음의 결과로 발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첫 번째로 상보적 분포와 자유 변이에서의 음운론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는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대부분의 변별이음에 대해 설명하였고, 세 번째로는 음운론자들과 음성학자들에 의해 다루어져 왔던 변이음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전통적 견해들을 언급하였다. 본 고에서는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음소와 그 이음들은 해당 이음들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들의 발음을 예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하여 비교하였다. 한국어의 무표적 음소는 유표적 음소보다 가변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가변성은 폴란드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모음이나 공명음의 양 옆으로 이웃하는 장애음은 한국어에서는 유성음화되지만 그것이 보편적인 경향은 아니었다. 폴란드어의 (전)경구개자음뿐만 아니라 한국어 경자음과 격음(유기자음)의 가변성은 경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주요한 변이음과 기준의 선택이 매우 어려울 수 있음을 보여준다(c.f. 한국어의 상보적 분포 [l]/[ɾ]), (자음: /ɕ/, /tɕ/와 /ɲ/은 폴란드어에서는 개별 음소로 분류되지만 한국어에서는 각 /s/, /tʃ/과 /n/음의 변이음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at a comparative study of consonantal allophony in Polish and Korean. It seems that in contrastive phonological research there is a need not only to show quantitative regularities in phonological inventories, e.g. phoneme /ɲ/ is present in x% of languages but also to show whether a feature (or a segment) is distinctive in given languages or appears only at the phonetic level, cf. phoneme /ɲ/ in Polish but only an allophone [ɲ] of the phoneme /n/ in Korean. Vowel allophony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here as it is quite poor and most of modifications are the results of coarticulation. First, the phonological conditions for complementary and free variant allophony are given. Secondly, the most distinctive Polish and Korean allophones are described. Thirdly, it is shown that there are various traditions in the description of allophony, as it is dealt with both by phoneticians and phonologists. Polish and Korean phonemes and their variants are compared in tables which contain also examples of the pronunciation of words containing these allophones. It is concluded that Korean unmarked phonemes exhibit stronger tendency to variability than marked ones and such variability it does not occur in Polish. An obstruent neighbored on both sides by vowels or sonorants can become voiced in Korean but it is not a universal tendency. Variability of Korean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as well as Polish (pre)palatal consonants is minimal. It is shown that selection of the main variant and norm can be quite hard (cf. complementary distribution of Korean [l]/[ɾ]). Consonants: /ɕ/, /tɕ/ and /ɲ/ are separate phonemes in Polish but in Korean they are only the allophones of phonemes /s/, /tʃ/ and /n/ respectivel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Consonantal allophony in Polish and Korean
Ⅲ. Conclusions
References
<국문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에밀리아 솰코브스카-김(Szalkowska-Kim, Emilia). (2012).Comparison of consonantal allophony in Polish and Korean. 동유럽발칸학, 14 (1), 177-194

MLA

에밀리아 솰코브스카-김(Szalkowska-Kim, Emilia). "Comparison of consonantal allophony in Polish and Korean." 동유럽발칸학, 14.1(2012): 177-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