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서의 발견과 국민ㆍ민족의 배치

이용수 491

영문명
The Discovery of Textbooks and Deployment of Nation and People - With a focus on textbook patterns during a modern transitional period -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구자황(Ja-hwang, Gu)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0輯, 265~28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과서의 등장은 교육 당국의 정책과 이념을 실제 텍스트로 구현하고, 표준적 지식을 보급ㆍ재생산한다는 점에서 근대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근대적 교과서의 출현은 교육을 통한 권력 및 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글은 근대 전환기 교과서를 통해 조선과 일제가 어떤 국민ㆍ민족을, 어떤 방식과 의미로 호명했는지 살펴보았다. 근대 전환기 국민과 민족의 개념이 배치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교수ㆍ학습의 주체들이 국민을 호명하는 방식과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국민ㆍ민족을 둘러싼 담론이 길항ㆍ교섭하는 양상과 의미를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본격적인 일제의 식민지배 이전에 개발한 3종의 교과서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조선 최초의 근대 교과서였던 『국민소학독본』(1895)과 일본의 교과서 체제 및 편집 기술이 수용된 『신정심상소학』(1896), 그리고 근대 사립학교 교과서인 『고등소학독본』(1906)이 그것이다. 그 결과, 근대적 학제와 교과서 제도가 마련되면서 실제 텍스트에서는 국민 혹은 민족 담론이 대립과 혼종의 양상을 연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선적 시선이 관철된 텍스트의 경우, 편집 및 개발 주체의 양가적 가치가 길항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의 학정 잠식 혹은 지배적 시선이 개재된 텍스트의 경우, 일본의 근대지를 번안ㆍ이식하면서 식민 지배를 위해 ‘정형화 작업’이 진행되었음이 드러났다. 이는 국어 교과서의 교과 목표, 체제, 문종, 제재 등이 수립되는 과정과 동시에 진행되었다. 일제의 입장에서 보면, 조선어 교과와 교과서는 의사전달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최소한의 문해력을 전제로 국체 인식과 국가의 이념을 위한 수양과 단련의 매체였다. 반면 식민지 조선인에게 교과서란, 최소한의 문해력은 물론 근대지의 세례를 경험하고, 나아가 비판적 문해력과 계몽서사를 전유할 수 있는 매체였다. 조선의 학부가 역사와 인물(위인)을 호명해서 국민과 민족의 이미지를 구축했듯이, 일제는 충량한 신민을 창출하기 위해 일본의 역사를 들어와 새로 쓰고, 조선의 과거를 활용해서 덮어쓰기를 시도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근대 전환기 교과서는 각각의 입장에서 새로운 역사쓰기와 국민 창출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창(窓)이었던 셈이다.

영문 초록

The emergence of textbooks claims certain modern significance in that they set out to implement the policies and ideologies of educational agencies in real texts and distribute and reproduce standard knowledge, which means the emergence of modern textbooks was closely related to power and institution through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extbooks from a modern transitional period to understand in what ways Joseon and the ruling Japanese called which people and race. It also empirically examined the process of deploying the concepts of nation and people and identified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calling the nation during a modern transitional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atterns and meanings of discourses on nation and people competing against and negotiating with each other. Analyzed in the study were three kinds of textbooks developed before the full-blown colonial ruling by Japan they were 『Gukminsohakdokbon』(1895), which was Joseon’s very first textbook, 『Sinjeongsimsangsohak』(1896), which embraced Japan’s textbook systems and edition techniques, and 『Godeungsohakdokbon』(1906), which was a textbook for private school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roduction of modern education and textbook systems led to the confrontation and confusion of discourses on nation and people in real texts. Especially, the texts where Joseon’s perspectives were applied showed the ambivalent values of the subjects of edition and development were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The texts where the ruling Japanese’s perspectives of encroaching upon or dominating Joseon’s educational system demonstrated that they engaged in the “stereotyping operation” for colonial ruling by translating and implanting Japan’s modern knowledge. It happened simultaneously with a process of establishing the objectives, systems, literary schools, and subject matters of Korean textbooks. The ruling Japanese saw the Korean subject and textbooks as a medium of cultivation and training for the perception of national polity and the ideology of nation based on the premise of minimal literary rather than a tool of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Joseon people tried to utilize them as a medium not only to obtain minimal literary, but also to experience the benefits of modern knowledge and exclusively possess critical literary and enlightening narrative. As the Joseon faculties called history and figures(great men) and established an image of nation and people, the ruling Japanese attempted to rewrite with Japan’s history and cover and write with Joseon’s past in order to produce loyal subjects for Japan. In a modern transitional period, the textbooks were windows for the two sides to demonstrate their new history writing and creation of nation.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국민 만들기와 민족 담론의 텍스트화 : 『국민소학독본』(1895)의 경우
3. 국민 만들기와 민족 담론의 이원화 : 『신정심상소학』(1896)의 경우
4. 국민 만들기와 민족 담론의 다층성 : 『고등소학독본』(1906)의 경우
5. 결론: 대립과 혼종의 교과서 시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황(Ja-hwang, Gu). (2011).교과서의 발견과 국민ㆍ민족의 배치. 어문연구, 70 , 265-287

MLA

구자황(Ja-hwang, Gu). "교과서의 발견과 국민ㆍ민족의 배치." 어문연구, 70.(2011): 265-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