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접인용문에서 의문문의 실현 양상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문제

이용수 770

영문명
The realization pattern of interrogative sentence in indirect quotation and the application probl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김현숙(Hyun-sook, Kim)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70輯, 29~5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간접인용문에서 의문문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한국어 교육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의문문 간접인용어미 ‘-냐고’가 상당 부분 일반화되었다고 판단하였다. ‘-느냐고’, ‘-(으)냐고’가 사용되는 비율이 3% 미만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언어 규범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매우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국어 능력시험에서도 간접인용문의 서술어 형태에 관계없이 ‘-냐고’를 제시한 것 역시 ‘-냐고’의 일반화를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한국어 교육에서 의문문 간접인용어미에 대한 교수 문법 내용은 ‘-냐고’ 형태를 중심으로 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한국어 교육의 목표가 의사소통능력에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일반화가 온전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일반화 과정이 진행 중에 있고, 규범 형태가 이와 같지 않으므로 부가적인 설명을 통해 규범 형태 역시 교수 문법 내용에 포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규범 형태를 명확하면서도 간결하게 제시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논외로 하였으나, ‘-냐고’가 통용되는 원인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도 깊이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으)-’나 ‘-느-’ 실현되지 않는 원인을 밝혀낸다면 ‘-냐고’의 일반화에 관한 논의가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도 본고에서 ‘-냐고’가 일반화에 무게를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본고의 논의만으로는 ‘-냐고’의 일반화를 주장하는 것은 부족한 면이 많다. 앞으로 좀 더 깊이 있고 폭넓은 연구를 통해 본고의 논거를 보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n this paper, we examined the realization pattern of interrogative sentence in indirect quotation and how to apply thi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we judged that indirect quotation ending ‘-냐고’ was generalized considerably. The portion that the ending ‘-느냐고’ and ‘-(으)냐고’ are used showed less than 3% which means that there is a big gap between the language norm and reality. In addition, even i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he fact that ending ‘-냐고’ was suggested regardless of predicate type of indirect quotation, was considered as the generalization of ‘-냐고’. Based on this point, we argued that the content of teaching grammar for indirect quotation ending of interrogative sent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냐고’ type. Because we judged that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on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But as the generalization was not established completely and is being in process and thus the norm type is not the same like this, the norm type should be also included in the content of teaching grammar through additive explanation. Thus we considered that the norm type should be suggested clearly and simply. Even if excluded in this paper, the study for the cause why ‘-냐고’ is commonly used should be conducted deeply in the aspect of Korean linguistics. If we found the cause that ‘-(으)-’ or ‘-느-’ are not realized,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 for the generalization of ‘-냐고’ could be taken place more clearly. Above all, this paper spreaded the discussion by putting the weight on the generalization of ‘-냐고’ but we are still far behind to argue the generalization of ‘-냐고’ only with the discussion on this paper. We expect to supplement the basis of an argument through deeper and wider research in the future.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의문문 간접인용어미 체계와 ‘-냐고’ 실현 양상
3. 한국어 교육에서의 ‘-냐고’ 문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숙(Hyun-sook, Kim). (2011).간접인용문에서 의문문의 실현 양상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문제. 어문연구, 70 , 29-52

MLA

김현숙(Hyun-sook, Kim). "간접인용문에서 의문문의 실현 양상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문제." 어문연구, 70.(2011): 2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