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분석학적 작품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비평 연구

이용수 464

영문명
A Study on the Criticism for Art Education through Psychoanalytical Analysis of Art Work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영길(Kim, Young-Gil)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4券 1號, 353~39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비교사들의 작품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양상을 분석하는 일은, 그들이 어떻게 현대의 삶과 소통하고, 어떻게 미술작품을 이해하며, 어떤 방식으로 사고하는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작품 제작 과정에서 체득되는 경험들은 순환이 되어 학교현장에 자연스럽게 투영되기 때문에 예비교사의 작업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근본적 실천방안이다. 본 연구자는 5년 동안 수행한 프로젝트학습의 내용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경험과 창의성의 논리를 고찰 하였으며, 적절한 작품분석을 위해서 프로이드와 융의 논리를 제시 하였다. 또한 미술교육 비 평적 측면에서 작품분석을 시도하고 실제적 교수-학습 분석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프로젝트 전 과정에 나타나는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는 일과, 작품의 주제 설정과 제작 동기의 교육 심리적 분석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미술교육 비평의 주된 의미와 역할은 미술교육의 현실을 정확히 통찰하고 교실 안과 밖에서 수행된 교육의 질적, 양적 측면을 철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It could be a crucial clue that criticizing the intrinsic aspect of the student teacher's art works to evolve their own stream of consciousness and to grope for cognitive stage: how they communicate with their own life, how they approach the art in culture and how they get the way of thinking. The analysis of their process of making art works make a considerable impact on creative instruction as an experience to get appropriate adaptation in the art classroom. I analyze the Project-Based Learning which performed for 5-years with my students in a point of view the Constructivism in art education. I explore the theory of John Dewey's experience and the diverse logic of Creativity to make a clear definition in the category of the Criticism for Art Education. In this sense, I suggest the psychology of Freud and Jung to interpret student teacher's art works evolving authentic teachinglearning methods. Particularly, I am very inspired to criticize the psychological aspect of my student in the procedure of making art works. And also, it is worth analyzing the motivation and exploring the subject matter in the classroom to make a successful project. Therefore, the Criticism for Art Education takes a role of insightful instrument to improve the classroom circumstance including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analyzing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프로젝트학습의 분석과 정신분석학의 이론적 고찰
Ⅲ. 작품분석의 실제와 미술교육 비평
Ⅳ .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길(Kim, Young-Gil). (2010).정신분석학적 작품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비평 연구. 미술교육논총, 24 (1), 353-392

MLA

김영길(Kim, Young-Gil). "정신분석학적 작품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비평 연구." 미술교육논총, 24.1(2010): 353-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