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漢文書札의 格式 考察

이용수 300

영문명
A Consideration on the Formality of Korean-Chinese letter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박대현(Park, Dae-hyu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1輯, 301~348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문 서찰의 격식을 고찰한 것이다. 고찰한 결과 서찰의 격식은 큰 틀에 있어書頭ㆍ候問ㆍ自叙ㆍ述事ㆍ結尾의 5단락으로 이루어지고, 세목에 있어 往書 20항목, 답서 24항목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5단락으로 대별하는 것은 文型의 기본인 서론ㆍ본론ㆍ결론의 3단락에다 서찰의 특성으로 인하여 2단락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5단락은 서론격인 書頭, 본론격인 述事, 결론격인 結尾에다가, 상대의 안부를 묻는 候問단락과 자신의 근황을 알리는 自叙 단락이다. 만약, 서론ㆍ본론ㆍ결론의 3단락으로만 대별하면 서찰의 특성인 상대방과 자신에 대한 안부 단락이 잘 구분되지 않는 반면, 본고처럼 5단락으로 대별하면 상대방과 자신에 대한 안부 단락이 명확해질뿐더러, 격식의 파악이 바로 내용의 파악으로 이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세목은 중국 宋代에 편찬된 『司馬氏書儀』와 元代에 편찬된 『居家必用事類全集』과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簡式類編』ㆍ『寒暄箚錄』을 참고하여 왕서 20항목과 답서 24항목이라는 수정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렇게 5단락의 큰 틀에 往書20개 항목과 答書24개 항목을 배속시키면, 강령과 조목이 모두 갖추어져서 서찰의 격식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서찰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열쇠는 서찰의 격식과 용어에 들어있다. 본 연국를 바탕으로 삼아 서찰 용어의 연구가 이루어지면, 자료의寶庫인 서찰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도구가 마련될 것이다. 용어에 대한 연구는 다음의 과제로 남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formality of Korean-Chinese letters. It is clear that the formality is composed of five paragraphs such as Seodu(書頭)ㆍHumun(候問)ㆍJasseo(自叙)ㆍSulsa(述事)ㆍGyeolmi(結尾), its details are composed of 20items in sending letter, 24 items in replying letter. This five-paragraph classification results from the addition of two paragraphs in to the three paragraphs of introductionㆍmain subjectㆍconclusion, which are the basic form of sentence pattern. The five paragraphs are as follows; Seodu(書頭)as an introduction, Sulsa(述事) as a main subject, Gyeolmi(結尾) as a conclusion, and Humun(候問) asking how the addressee is, Jaseo(自叙) notifying how the addresser is. The five-paragraph classification of this study makes the paragraph, how one is, distinguishable, and enables us to grasp the formality directly, and further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aragraph, how one is, by which the understanding of contents is not easy. And the detailed items of this study is revised ones with 20 items in sending letter, and 24 items in replying letter, with an reference to Samassiseoui(『司馬氏書儀』) compiled in Sung Dynasty, Geogapiryongsaryujeonjip(『居家必用事類全集』) compiled in Yuan Dynasty, and Hanhwoncharok(『寒暄箚錄』), Gan-singnyupyeon(『簡式類編』) compiled in chosun Dynasty. The attachment of 20 items in sending letter, and 24 items in replying letter to the five-paragraph composition leads to the completion of major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and naturally enables us to seize out manifestly the formality of the letter. The key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Korean-Chinese letters in the formality and the usage in the letter. Studies on the usag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is study provides a tool to enables to access to the letter, a treasure of research materials. Further task in relation to this study is supposed to have a research work on the usage of Korean-Chinese letter.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서찰의 개념
3. 서찰의 격식
4. 격식을 보여주는 서찰의 실례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대현(Park, Dae-hyun). (2009).漢文書札의 格式 考察. 대동한문학, 31 , 301-348

MLA

박대현(Park, Dae-hyun). "漢文書札의 格式 考察." 대동한문학, 31.(2009): 301-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