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校正廳本 四書諺解의 존대법과 道統論

이용수 156

영문명
Honorific Expressions and the Confucian Theory of Spiritual Enlightenment Found in the Annotation of Fore Book as the Edited Version of Gyojeongcheong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유영옥(Yu, Young-o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31輯, 245~27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宣祖 18년~21년에 완성된 校正廳本 경서언해서는 조선전기 經學 연구의 최고 결정판이다. 그중 四書諺解는 여러 학설을 통합 절충하되 朱子의 四書章句集註를 臺本으로 편찬되어, 주자성리학에 입각한 특정 해석을 국가적으로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텍스트이다. 교정청본 사서언해에서 주목되는 한 가지는 바로 儒家의 道統 전수자들에게 존대법을 구사하는 방식이다. 교정청본 사서언해는 堯舜에서 孟子로 이어지는 도통전수자들의 言行에 모두 존댓말을 사용했는데, 특히顔子와 曾子에 차이를 두어 안자에게는 존댓말을 쓰지 않았지만 증자에게는 孔子앞에서도 압존하지 않았다. 이는 四書가 儒經의 핵심으로 인식되면서, 四書 저술자로서의 孔子-曾子-子思-孟子로 이어지는 도통계보가 중시된 현상의 반영이라 하겠다. 공자의 宗旨를 후세에 전하지 못한 顔回는 도통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유일하게 공자의 宗統을 계승한 증자는四書 중 특히 『대학』이 중시되는 학풍 속에서 더욱 존모되었던 것이다. 또 교정청본 사서언해는 孔子와 諸侯와의 대화에서 공자에게 존댓말을 쓰되 제후에게는 존대하지 않아, 제후보다 스승 공자를 상위에 둔 것이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추측을 낳고 있다. 여기에는 文宣王 孔子를 聖人에서 聖王으로 대우하는 시대적 추세도 영향을 끼쳤겠지만, 帝王의 권력을 견제하고 공론정치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士林의 정치적 목적도 내재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The anno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that were edited and published by Gyojeongcheong between the 18th and 21st years of King Seonjo's reign were the most authoritative versions of such classics released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In preparing the Annotation of Fore Books, especially,『Saseojanggujipju』written by Chu-Hsi was used as its main text, even though a variety of academic theories were integrated or coordinated in the preparation. Quite importantly, the annotation represents the fact that the state effectively formalized a fixed 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in accordace with Chu-Hsi's Sung Confusianism. One of the most notable things in the Annotation of Fore Books is how to use honorific expressions towards initiators of the Confucian theory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the annotation, it is found that honorific words are used towards all initiators of the above theory from Yao-Shun to Mencius. Particularly, however, the use of such words was very different between Yen Hui and Tseng-tzu. In other words, honorific words are not used towards the Yen Hui, but too excessively used towards Tseng-tzu.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s one of the Four Books, which were considered quite valuable in the period of Joseon,『The Great Learning』was written by Tseng-tzu, so he was treated as a highly respectable figure in the same period.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校正廳本 四書諺解의 편찬방향
3. 儒家 道統論에 입각한 존대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영옥(Yu, Young-og). (2009).校正廳本 四書諺解의 존대법과 道統論. 대동한문학, 31 , 245-276

MLA

유영옥(Yu, Young-og). "校正廳本 四書諺解의 존대법과 道統論." 대동한문학, 31.(2009): 245-2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