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화조화의 개념과 상징 해석에 대한 고찰

이용수 688

영문명
Consideration on the concept and the symbolism of traditional flower-bird paintings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장지성(Jang Ji Seo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2券 2號, 297~32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회화에 있어서 산수화?인물화와 함께 3대 화문인 화조화는 고려시대부터 순수한 감상을 위한 화조화가 그려지기 시작했으며, 양식적인 변천을 거듭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꽃과 새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일찍이 자연합일의 사상이 발달한 동아시아에서 자연의 조화로움과 아름다움을 대변하니, 항상 예술과 문학의 주요 소재로 다루어져 왔다. 특히 소재가 지니는 다양한 상징은 화조화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화조화는 하나의 화문(畵門)으로 볼 때 아직까지 정확한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명확하지 않아 광의와 협의의 개념이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고, 전통 화조화를 감상하고 비평하는데 있어서 소재가 지니는 상징에 대한 편협한 해석으로 작품전체를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전통화조화의 올바른 감상과 비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화문으로서의 범위와 상징 해석의 문제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판단하였다. 그래서 첫째, 중국의 화보(畵譜)나 화사서(畵史書)의 화조화라는 용어의 사용례와 한국회화사에서의 화조화라는 용어사용에 대한 세밀한 고찰을 통해 보다 정확한 화조화의 개념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둘째, 화조 소재가 지니는 상징뿐만 아니라, 화조화 작품이 지니는 상징 해석의 중요성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실제 작품을 분석하여 작품의 의미를 밝히는데 다양한 상징 요소들이 존재함을 밝혔다.

영문 초록

  A flower-bird painting, one of three big styles with a landscape painting and a figure painting in traditional paintings, has been drawn since Goryeo era when people drew it for genuine appreciation and has changed its styles to come to current patterns. Flowers and birds have been main subject matters in arts and literature to express the harmony and the beauty of nature in East Asian countries where there are clear four seasons and Oriental thought that emphasizes the unity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Especially the various symbols of the materials became the motive to develop flower-bird paintings. However, no one defines the exact meaning and range of flower-bird paintings and the concept of it both in a broad sense and a narrow sense creates confusion. Also narrow interpretation on the symbol of materials in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traditional flower-bird paintings sometimes works as an obstacle i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art works and distorts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raditional flower-bird paintings.
  Hence, in this research, I intended to suggest more clearer concept of flower-bird paintings by studying usage cases of the term "flower-bird painting" in Chinese picture books and painting history books and in Korean painting history. I also demonstrated that it is needed to examine what symbol flower-bird paintings have rather than what symbol materials in flower-bird paintings have, and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symbol factors to clarify the meaning of an artwork by analyzing real art works. In other words, I insisted that we need to prescribe the scope of flower-bird painting patterns by defining the concept of flower-bird paintings and read creativity of artist, era and culture in symbols of each art work to appreciate traditional flower-bird paintings properly, not just we find and understand forgotten traditional symbols in flower-bird painting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전통화조화의 개념과 화문으로서의 범위
Ⅲ. 전통화조화의 상징 해석의 문제
Ⅳ. 화조화 작품의 상징 해석의 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성(Jang Ji Seong). (2008).전통화조화의 개념과 상징 해석에 대한 고찰. 미술교육논총, 22 (2), 297-327

MLA

장지성(Jang Ji Seong). "전통화조화의 개념과 상징 해석에 대한 고찰." 미술교육논총, 22.2(2008): 297-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