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 현대 미술교수학에 대한 고찰

이용수 105

영문명
The contemporary didacticism of art education in Germany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경순(Kim Gyong Soo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2券 2號, 55~8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업을 다루는 학문으로서 독일 현대 미술교수학을 논할 것이다. 시기적으로는 독일 현대미술교수학을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로 본다. 먼저 교수학에 대한 개념 정의가 온다. 미술교수학은 크게 미술교과교수학과 일반교수학이 있다. 이 두 개의 교수학을 중심으로 4개의 교수학 모델이 소개되며 분석된다. 교수학의 모델들을 통해 교과교수학과 일반교수학을 구분하는 조건에 대해 논한다. 그리고 각 모델이 제시한 수업구조의 요소와 세부 범주를 분석하여 교수학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수업은 무엇인가를 논한다. 이 모델들은 네 명의 학자들의 미술교수학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 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argues about the contemporary art didacticism in Germany which refers to art classes. There are two big types of the didacticism in Art Education to argue about and to define: one is subject didacticism and the other general didacticism. The study deals with three different models which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conventional didacticism, as well as its subject and its goal.
  The first one is ‘subject didacticism’ that was practised very well by the academic pedagogy course by the end of 1960. Subject didacticism concentrates on the modernist art principles which correspond very well to the developing of child art. The model is oriented on solving problems with the plastic principles, but it isn’t assumed and correlated to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organization and to daily life in which the students live. The second and third models are general didacticism: the second model is didacticism of visual communication by Moeller and the other is an interpretation by Otto. The two models put the goal of general didacticism on ‘emancipation’ which means basically free from dependence on parents, but in general it has meant since 1970 in a pedagogy area free from all obstacles against self-confidence and illiteracy. Since 1970 the concept ‘emancipation’ has been used as e new pedagogical concept. The experts use it as an analogue with selfconfidence and literacy. The main emphasis of the models encourages student"s literacy about the mass media, on correlating the subject to the social-cultural daily life in which they live, and to mass media as a tool for artistic expression.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수학의 발달과 의미
Ⅲ. 미술교과교수학과 일반교수학
Ⅳ.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순(Kim Gyong Soon). (2008).독일 현대 미술교수학에 대한 고찰. 미술교육논총, 22 (2), 55-83

MLA

김경순(Kim Gyong Soon). "독일 현대 미술교수학에 대한 고찰." 미술교육논총, 22.2(2008): 55-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