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일신라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이용수 496

영문명
Research on the Artistic Characteristic in the Rock-cut Buddha of The Unified Silla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성도(Yi Sung-Do)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2券 2號, 247~296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8.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마애불은 한국조각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조각으로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전국적으로 만들어졌다. 마애불은 9세기경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는데 그 표현방식은 고부조, 중부조, 저부조, 선각(線刻) 그리고 불신(佛身)은 바위면에 부조로 새기고 불두(佛頭)는 별석으로 만들어 올리는 방법 등 더욱 다양해졌다. 통일신라 마애불은 삼국시대 마애불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다양한 형식을 추구하면서 절제되고 함축적이고 전체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또한 얼굴 중심의 정면성 표현이 강조되고 있으며, 도상의 구성 또한 비대칭적이며 자유롭다. 또한 선, 면, 양감, 공간 등 여러 조형요소를 아우르면서 절제된 양감과 면 그리고 선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 당시 중국 불상조각의 국제적인 조형을 통일신라의 조형으로 소화하면서 자연주의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통일 초기의 안정적인 비례와 균형 잡힌 불신의 사실적인 표현 속에 풍만한 볼륨, 세련된 이목구비와 자비로운 얼굴, 자연스러운 법의를 표현하고 있다. 8세기 후반을 넘어서는 경직한 불신의 형식화된 신체 표현 속에 무표정하고 활기 없는 얼굴, 긴장을 잃은 의습의 선묘 등으로 변한다. 통일신라 마애불의 조형성은 이 시대 마애불만의 특유한 것이 아닌 한국적 보편적 조형성에 수렴하고 있다. 이것은 자연에 순응하는 자연주의 미학의 모습이다.

영문 초록

  The Rock-cut Buddha which is relatively dominant type has been carved from The era of Three countries to Joseon dynasty in all of the country. The Rock-cut Buddha spread out its style not only Keongju but all of the country in 9th century of The Unified Silla, which has variety in type such as high relief, middle relief, low relief, and linear relief and which has specialty using rock for body and isolated stone for head. The Rock-cut Buddha in The Unified Silla succeeded mostly the type of The era of Three countries trying to explore various type with temperance and suggestiveness considering whole picture. In the way of express, frontality of Buddha"s face is stressed, however, its composition is unrestricted including asymmetric expression. It used temperate volume, surface and linear expression with harmony, including various artistic elements, such as line, plane, mass, and space, etc. It shows naturalistic expression with its own style developed from Chinese style. It has the early style of The Unified Silla which has balanced proportion and stable body with realistic expression and advanced style which expresses well developed volume, perfect particles of face, merciful face, and the natural meaning of Buddha. After the late of 8th century, it shows strict typical form of body, face without expression and spirit, and typical linear expression without tension. The characteristics of cut-rock Buddha of The Unified Silla has not its own characteristic but universality come from tradition. It is a naturalistic aesthetics which requires anadjust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통일신라 불교교단과 조각의 흐름
Ⅲ. 통일신라 마애불의 표현양식
Ⅳ. 통일신라 마애불의 조형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 도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도(Yi Sung-Do). (2008).통일신라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미술교육논총, 22 (2), 247-296

MLA

이성도(Yi Sung-Do). "통일신라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미술교육논총, 22.2(2008): 247-2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