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節婦, 烈婦, 烈女

이용수 401

영문명
"Jeolbu", "Yeolbu" and "Yeolnyeo"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강명관(Kang Myeong-Kwa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25輯,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열부·열녀는 조선조에 발명된 것이다. 그것은 고려조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고려시대에는 "절부"만 있었다. 절부는 유일한 성적 대상자인 남편의 부재(주로 사망)시에 다시 결혼하지 않는 여성을 지칭하는 것이었고, 그것은 아내의 부재(주로 사망)시에 결혼하지 않는 남성인 의부와 짝을 이루고 있었다. "수절"은 여성에게만 강요된 윤리가 아니었던 것이다.
  조선의 양반-남성은 건국 이후 한동안 효자·순손·절부·의부를 한 세트로 하는 표창을 계속하다가『경국대전』에 와서 의부를 삭제함으로써 배우자에 대한 성적 종속성을 오로지 여성의 윤리로 강제하였다. 이것으로 가부장제 확립의 기초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불충분하였다. 절부는 유일한 남성의 부재, 즉 남편의 죽음 이후에도 성적 종속성을 실천할 것을 요구한 것이었을 뿐이다. 성적 종속성은, 여성이 생명을 위협 받는 폭력적 시공간에서도 실천되어야만 하였다. 따라서 양반-남성은 열부와 열녀를 발명해냈던 것이다. 열녀를 정의하는 행위, 곧 열행의 실천을 여성의 대뇌에 심기 위해「열부최씨전」「배열부전」이 쓰였고, 나아가『삼강행실도』의「열녀편」이 만들어졌던 것이다.
  열부와 열녀는 거의 같이 쓰이는 어휘이나 엄밀히 말해 열녀는 열부를 포함한다. 열부가 공인된 성적 대상자를 갖는 여성을 의미한다면, 열녀는 결혼하지 않은 여성까지 포괄하는 어휘이다. 남성-양반의 여성에 대한 성적 종속성의 실천은 궁극적으로 열녀를 지향하고 있었던 바, 그것은 언제 어떤 상황의 시공간에서도 결혼한 여성은 물론 결혼하지 않은 여성까지 미래의 유일한 성적 대상자에게 성적 종속성을 실천할 것을 요구했던 것이다. 여성의 성적 종속성의 실천은 외견상 윤리의 형태를 띠고 있었지만, 사실상 그것은 남성-양반 국가의 건설을 위하여 여성을 성적으로 지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온 책략이었을 뿐이다. 이 책략의 성공으로 조선은 가부장제 사회로 전환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e period of Koryo, such words as "yeolbu" and "yeolnyeo" didn"t exist, but just a similar expression, "jeolbu" was used. "Jeolbu" meant a woman who didn"t remarry after her husband as only one sex partner became absent(died in most cases). A male counterpart to "jeolbu" was "euibu" meaning a man who didn"t remarry after his wife became absent(died in most cases). Keeping abstinence was not an ethical duty as given only to women. In the Koryo period, it was common that men lived in their wife"s home and that women could freely remarry after losing their husband. In that period, being "jeolbu" was up to women themselves.It was not ethically or legally forced.
  For some time after the foundation of Chosun, men―especially, noblemen―kept awarding men of filial piety and those who might be titled "sonsun", "jeolbu" or even "euibu". But later,〈Gyeongguk Daejeon〉 was published with no use of the words "euibui", defining sexual subordinateness to the spouse as an ethical obligation of women only. This set a basis on which patriarchism could be established.
  However, it was not sufficient only with such basis. "Jeolbu" indicates that women of Chosun were forced to be sexually subordinate to only one man, that is, their husband even after he became absent, or died. Such subordinateness had to be kept even when or where women"s lives were being violently threatened. In this sense, men of Chosun―especially, noblemen―devised two concepts, "yeolbu" and "yeolnyeo".
  "Yeolbu" and "yeolnyeo" were words that were nearly same in meaning. But strictly speaking, the former belonged to the latter. "Yeolbu" meant a woman who had a socially recognized sex partner while, "yeolnyeo" was used to call even unmarried women. In the Chosun period, men―especially, noblemen―stressed that being "yeolnyeo" was the ultimate of women"s sexual subordinateness. This means that in that period, not only married, but also unmarried women were forced to be sexually subordinate to only one man as their present or future sex partner. Practicing such subordinateness was apparently an ethic, but, in fact, just a strategem that was designed to sexually govern women by men―especially, noblemen. Such strategem was successful, and Chosun was moved into a patriarchical societ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節婦와 烈婦의 傳
Ⅲ. 節婦와 義夫
Ⅳ. 烈婦와 烈女
Ⅴ. 맺음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명관(Kang Myeong-Kwan). (2007).節婦, 烈婦, 烈女. 동양한문학연구, 25 , 5-30

MLA

강명관(Kang Myeong-Kwan). "節婦, 烈婦, 烈女." 동양한문학연구, 25.(2007):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