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文以載道’의 매체론적 이해

이용수 160

영문명
Reconsiderations on the concept of Mun-yi-jae-do(文以載道)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조현우(Cho Hyunwoo)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25輯, 353~37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文以載道는 특히 소설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들이 文以載道의 개념을 상당 부분 오해한 것으로 보았다. 그와 같은 오해의 핵심에는 "文"의 성격을 중립적이고 투명한 매체로 보는 관점이 자리잡고 있다. 文以載道에서의 "文以"는 風敎論의 "風動"과 같이 매체를 통해 정서적 반응이 유발되는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 이러한 과정은 고정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서구의 의사소통 모델과는 다른 성격을 갖는다. 이렇게 볼 때, 文以載道論은 文의 매체적 속성을 활용하여 道를 드러내고자 하는 매체론으로 이해할 수 있다. 文以載道論을 매체론으로 이해하는 일은 "載道"의 과정, 즉 道를 실었는가의 여부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文以"의 과정으로 시선을 돌리는 일이다. 이것은 道를 싣기 위해 어떤 매체를 선택했는가, 그리고 그 매체를 통해 형상화되는 道와 매체 형식은 어떤 상관성을 지니는가를 묻는 일이 된다. 이렇게 될 때, 文以載道論은 도의 형상화를 위해 매체를 고민하고 그 매체적 형식을 통해 새로운 조류를 만들어낸 예술(매체) 이론으로 자리매김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Mun-yi-jae-do"(文以載道: the precept a truthful writing should serve as a vehicle for the Way of the Ancient Sages) which had been misunderstood as a anti-literary property. The reason why this misunderstanding has been continued so long time, I think, is how to comprehend the term, "vehicle" in the definition of the "Mun-yi-jae-do". Regarded "vehicle" as transparent means, the literature becomes simple means of conveyance for the Tao(道), as the message of that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 suggested that "Mun-yi-jae-do"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tandpoint of Media Aesthetics, to represent the Tao with different styles by the different media. I designated this property of "Mun-yi-jae-do" as the term, "configuration". "Mun-yi-jae-do", I think,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communication in which media is clearly separated from message. In the "Mun-yijae- do", like a pouring metal into mold, the media and message solidly integrate with each other. The point to regard "Mun-yi-jae-do" as Media Aesthetics implies that we have to investigate not only whether the message has been transmitted successfully into media, but also how the Tao as message has been represented by the form of media.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文以載道를 보는 시각들
Ⅱ. 文以載道와 效用論
Ⅲ. 道文―표현내용과 표현매체의 相關性
Ⅳ. 文以載道의 확장 가능성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현우(Cho Hyunwoo). (2007).‘文以載道’의 매체론적 이해. 동양한문학연구, 25 , 353-376

MLA

조현우(Cho Hyunwoo). "‘文以載道’의 매체론적 이해." 동양한문학연구, 25.(2007): 353-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