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디자인사에서 바우하우스의 의미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66

영문명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Bauhaus in Modern Design History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대일(Lee Dae-Il)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0券 3號, 301~3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바우하우스는 20세기 조형교육의 시발점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건축 및 회화와 디자인 등 예술세계를 망라하는 근대조형양식의 근거가 되었다는 점에서 근대 대자인사의 결정적인 틀을 형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과학-기술 세계의 인식방법과 궤를 같이하는 이 조형운동은 객관성과 보편성을 추구하여 기계시대에 어울리는 기능주의적 조형관을 확립하게 된다. 이것은 근대성의 중추를 이루는 이성?합리주의 정신의 형태적 구현이다.
  그러나 1970년대를 경과하여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사회 전면으로 등장함에 따라 바우하우스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새로운 평가와 자리매김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대적 양식과 개성 구현의 문제, 근대 합리주의 정신과의 관계 그리고 추상적인 조형언어와 이에 따른 인간의 인식방법의 변화 및 감수성의 변화 그리고 예술의 대중화나 새로운 질서와 통일성 등의 문제에 비추어 바우하우스의 의미를 새롭게 밝혀본다.

영문 초록

  Bauhaus is being evaluated that it made a decisive frame of the modern design history in the respect that it became not only the start for the 20th century"s plastic education, but the basis of the modern plastic mode containing art world such as architecture, paintings and design. This plastic movement which has the same track with the way of cognition of the science-technology world pursues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and then it comes to establish the plastic view of the functionalism which becomes to the machine age. This is the embodiment of the rationalism which forms the pivot of modernity.
  However, this functional plastic way which has the axes-abstraction and measuring-comes to wear the character of the standardization because the modern rationality hold on formal rationality than substantial rationality. For this reason the off-modernism phenomena which try to break uniformity as a frame of the society governing as well as cultural standardization begins to be projected into the fields of society. This is a culture phenomenon which gives weight to the subjectivity world instead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society which regard as of great importance the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Viewing this historic relationships, Bauhaus will be given the general meaning in the fact that it produced the culture pattern according with the congregating way of life of the moderners (in other words, the innovative changed way of life such as, the type of residence and material production-consumption system).
  However, at the same time this brought culture wearing strong uniformity instead of the cultural peculiarity and diversity. Besides, it played a considerable role in shaping the city-sensibility(the new sensibility of human) and furthermore, it influenced a great deal upon the way of cognition about things. And also the new uniformity was emphasized, which reflects the social uniformity of technology-ration taking the place of the religious uniformity in the premodern age.
  Examining the meaning of Bauhaus, this will be an important basis in the creation of the more meaningful new plastic mod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바우하우스와 시대정신
Ⅲ. 새로운 조형언어
Ⅳ. 기능주의적 조형관
Ⅴ. 탈 포스트 모더니즘과 탈 근대주의
Ⅵ. 바우하우스의 의미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대일(Lee Dae-Il). (2006).근대 디자인사에서 바우하우스의 의미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0 (3), 301-340

MLA

이대일(Lee Dae-Il). "근대 디자인사에서 바우하우스의 의미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0.3(2006): 301-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