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앉기 자세의 변화가 7~9세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5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ated positioning quality on the upper limb function in 7 to 9 years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송병호(Byung-ho Song) 김상진(Sang-Jin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3호, 111~1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2,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직접교수와 교육과정중심측정에 근거한 진전도 모니터링이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기초연산능력 및 발달 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3학년에 재학하는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 아동 80명(2학년-42명, 3학년-3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학년마다 세 집단(전통적 교수집단, 직접교수집단, 직접교수+진전도 모니터링 집단)으로 나누었다. 세 집단의 중재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활용하였다. 또한 연산 수행능력의 발달 패턴을 탐색하기 위하여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이 동시에 활용된 집단의 반복측정 결과를 위계적 선형모형(HLM)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 교수집단에 비하여 직접교수집단이, 직접교수집단보다는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을 동시에 활용한 집단이 기초연산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위계적 선형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을 동시에 활용한 집단은 연산 수행능력에서 매 주마다 일정비율의 성장속도를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the seated position on the function of the upper limb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y measuring and comparing the upper limb’s function in a routine seated position in standard classroom furniture versus in an optimal seated position in individually fitted furni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children, ages 7 to 9 years old,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who underwent occupational therapy at the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The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test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pper limb’s function of the optimal seated position in individually fitted furniture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in the standard classroom furniture. Second, the seated position quality had an effect on each upper limb’s function. Third, the effect of the seated position on the upper limb’s funct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isability was more in mild cases in both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 but the result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effect of the seated position quality on the upper limb’s function related to 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gure out the optimal seated position in individually fitted furniture can help the improvement of the upper limb func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앉기 자세의 변화가 7~9세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이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기초연산능력 및 발달 패턴에 미치는 효과
- The Application of Computer Technologies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Classroom
-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에 관한 문헌분석
- 학교-가족간 협력에 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분석
- 미국내 특수교육과 개설대학 교육과정 내용 분석
-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운동능력과 가동성 방법에 관한 연구
- 점토를 이용한 미술치료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 모형 개발
- 학회지 게재신청논문 심사규정 외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검사(CALS)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 특수학교 건강교과 교육실습의 의미탐색: 좌절, 사랑, 희망
- 청각장애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저시력 학생의 큰글자와 확대경을 사용한 보통글자 읽기 효율성 비교 기초연구
- 뇌성마비아의 음운처리능력과 읽기, 쓰기와의 관계 연구
- Effects of Errors Present versus Absent on Problem Behavior in Difficult Math Work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아이디어, 성취기준 및 질문의 연계 제시 방식 비교·분석: 캐나다 온타리오 및 B.C. 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