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점토를 이용한 미술치료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21
- 영문명
- The effect of art therapy action using clay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정정순(Chung Jung Sun) 이진혜(Lee Jin Hea)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3호, 85~1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3,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신지체 청소년은 전반적인 발달의 지체로 인하여 언어 및 사회성 발달의 지체를 보인다. 이로 인하여 사회적 기술에 있어서 어려움을 나타내며, 적응행동의 결함을 보인다. 이는 많은 경우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여 적절하게 자기 표현력을 나타내는데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신지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점토를 이용한 미술치료활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시내 소재 J구에 위치한 K특수학교의 중학부 학생 29중 지능검사, 사회성숙도 검사를 실시한 후 최종 면담 통하여 4명의 정신지체 청소년 4명을 연구 집단으로 주2회 총30회기동안 점토를 이용한 미술치료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순한 학습차원을 넘어 자유롭게 매체를 활용한 형태의 변화와 더불어 주제표현에 있어 창의성을 보였다. 특히 ,자신의 작품에 대해 타인에게 전달하는 능력을 보이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토를 이용한 미술치료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하였다. 질적연구는 미술치료 실시 이후 자기표현력 변화정도와 변화상태를 알아보았다.
영문 초록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re delayed in development of language, thinking, and behavior regulatory function and are in defect of adaptability due to retardation of general development. Therefore, in many cases, the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do not have enough chances of choice and determination by themselves, and may experience difficulties in appropriate self-expression.
This study examine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repeated using clay art therapy action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are educable. For this study four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s a experimental group are selected out of twenty-nin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K Special School at J district in Seoul through an intelligent test, a social maturity test and final interview. The experimental group ran the 30 sessions of art therapy action using clay twice a week. As a result of the session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creativity in expression of their subjects as well as the ability of changing clay figure by using the media in their own ways over the simple learning ability. Especially, it showed the positive effect which enables the experimental group to transfer their intention of work to others.
Knowing the effect of using clay art therapy action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adolesc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is study using clay go together study of quality and quantity. Since art therapy action, the study of quality has been studied self-expression ability change of degree and stat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앉기 자세의 변화가 7~9세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이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기초연산능력 및 발달 패턴에 미치는 효과
- The Application of Computer Technologies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Classroom
-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에 관한 문헌분석
- 학교-가족간 협력에 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분석
- 미국내 특수교육과 개설대학 교육과정 내용 분석
-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운동능력과 가동성 방법에 관한 연구
- 점토를 이용한 미술치료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 모형 개발
- 학회지 게재신청논문 심사규정 외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검사(CALS)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 특수학교 건강교과 교육실습의 의미탐색: 좌절, 사랑, 희망
- 청각장애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저시력 학생의 큰글자와 확대경을 사용한 보통글자 읽기 효율성 비교 기초연구
- 뇌성마비아의 음운처리능력과 읽기, 쓰기와의 관계 연구
- Effects of Errors Present versus Absent on Problem Behavior in Difficult Math Work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몰입을 매개로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창의·융합 역량 함양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미술교육 모델 연구
- 의과대학 교육자의 교수 전문성 표준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