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이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기초연산능력 및 발달 패턴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41
- 영문명
- The Effects of Direct Instruction and Progressive-Monitoring on the computation performance and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Mathematical Difficulties or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일(Kim Dongil) 이태수(Lee Tae-Su)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3호, 171~1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2,9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직접교수와 교육과정중심측정에 근거한 진전도 모니터링이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기초연산능력 및 발달 패턴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ㆍ3학년에 재학하는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 아동 80명(2학년-42명, 3학년-3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학년마다 세 집단(전통적 교수집단, 직접교수집단, 직접교수+진전도 모니터링 집단)으로 나누었다. 세 집단의 중재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활용하였다. 또한 연산 수행능력의 발달 패턴을 탐색하기 위하여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이 동시에 활용된 집단의 반복측정 결과를 위계적 선형모형(HLM)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 교수집단에 비하여 직접교수집단이, 직접교수집단보다는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을 동시에 활용한 집단이 기초연산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위계적 선형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을 동시에 활용한 집단은 연산 수행능력에서 매 주마다 일정비율의 성장속도를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irect Instruction(DI) and progressive- monitoring(PM) through Curriculum-Based Measurement(CBM) on the computation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or disabilities. Al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utational developmental patterns (performance level and rates of growth) of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or disabilities. Eighty students in Grade 2(42 students) and Grade 3(38 students) participated. Al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below grade level and had an low IQ(above -2 SD). Students were assigned to traditional instruction program, only DI program, and DI/PM program on Grade. DI was implemented twice week and CB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6 weeks.
Only DI students and DI/PM students improved their computation skills significantly more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students and DI/PM students improved their computation skills more than others. Also, in the analysis of developmental patterns through HLM, DI/PM students was dramatically progressed according to the model to estimate the trajectories and the performance level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앉기 자세의 변화가 7~9세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이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기초연산능력 및 발달 패턴에 미치는 효과
- The Application of Computer Technologies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Classroom
-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에 관한 문헌분석
- 학교-가족간 협력에 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분석
- 미국내 특수교육과 개설대학 교육과정 내용 분석
-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운동능력과 가동성 방법에 관한 연구
- 점토를 이용한 미술치료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 모형 개발
- 학회지 게재신청논문 심사규정 외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검사(CALS)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 특수학교 건강교과 교육실습의 의미탐색: 좌절, 사랑, 희망
- 청각장애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저시력 학생의 큰글자와 확대경을 사용한 보통글자 읽기 효율성 비교 기초연구
- 뇌성마비아의 음운처리능력과 읽기, 쓰기와의 관계 연구
- Effects of Errors Present versus Absent on Problem Behavior in Difficult Math Work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hen의 “Asia as method”라는 아이디어가 교육 연구의 탈식민화에 주는 시사점: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