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시력 학생의 큰글자와 확대경을 사용한 보통글자 읽기 효율성 비교 기초연구
이용수 112
- 영문명
- The Base Study for Comparison of Reading Efficiency of Students with Low Vision When Reading Large Print and Regular Print with Magnifi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강보순(Bo-Soun Ka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3,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저시력 학생의 큰글자와 확대경을 사용하여 보통글자 읽을 때의 읽기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B 맹학교 중학부에 재학하고 있는 저시력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읽기검사를 실시하고 큰글자와 확대경을 사용하여 보통글자를 읽을 때의 읽기속도, 읽기 정확성, 읽기 이해도, 읽기 지속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읽기속도는 저시력 학생의 시력과 읽기 특성에 따라 문자매체에 따른 읽기 속도가 달랐다. 둘째, 확대경을 사용하여 보통글자를 읽을 때 큰글자를 읽을 때 보다 읽기 정확성이 높았다. 셋째, 확대경을 사용하여 보통글자를 읽을 때 큰글자를 읽을 때 보다 읽기 이해도가 같거나 높았다. 넷째, 확대경을 사용하여 보통글자를 읽을 때 큰글자를 읽을 때 보다 읽기 지속성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저시력 학생의 시력과 읽기 특성에 따라 문자매체에 따른 읽기 효율성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지속적인 확대경 사용은 저시력 학생의 읽기 효율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eading efficiency with which students with low vision read large print and regular print using magnifier, by measuring the reading speed, reading accuracy,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duration.
The study required four students with low vision in a middle school for the blind to read test. For reading tests the passages from novels chosen by the students were presented both in large print and regular print. These tests were conducted every other day to require students to read in large print, and in regular print with magnifier to measure and compare the reading speed, reading accuracy,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duration. After three weeks from reading, reading tests were given to the students to evaluate their reading efficiency.
The study came up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hen reading regular print with magnifier, the students reading speed varied according to the students' vision and reading characteristics. Second, the students read with more accuracy using magnifier in the case of regular print than in the case of large print. Third, when using magnifier, the students read longer in the case of regular print than in the case of large print.
When comparing the reading efficiency between large print and regular print with magnifier, it found that the reading efficiency with magnifier and regular print was higher than that of large print, and that the continuous use of a magnifier had positive effects on enhancing reading efficiency of students with low vis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앉기 자세의 변화가 7~9세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이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기초연산능력 및 발달 패턴에 미치는 효과
- The Application of Computer Technologies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Classroom
-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에 관한 문헌분석
- 학교-가족간 협력에 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분석
- 미국내 특수교육과 개설대학 교육과정 내용 분석
-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운동능력과 가동성 방법에 관한 연구
- 점토를 이용한 미술치료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 모형 개발
- 학회지 게재신청논문 심사규정 외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검사(CALS)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 특수학교 건강교과 교육실습의 의미탐색: 좌절, 사랑, 희망
- 청각장애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저시력 학생의 큰글자와 확대경을 사용한 보통글자 읽기 효율성 비교 기초연구
- 뇌성마비아의 음운처리능력과 읽기, 쓰기와의 관계 연구
- Effects of Errors Present versus Absent on Problem Behavior in Difficult Math Work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몰입을 매개로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창의·융합 역량 함양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미술교육 모델 연구
- 의과대학 교육자의 교수 전문성 표준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