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 모형 개발
이용수 608
- 영문명
- Development of Educational Support Mode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혜(Eun Hye Park) 박지연(Ji Yeon Park) 노충래(Choong Rai Nho)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3호, 269~2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특수교육진흥법 개정을 통해 심장장애, 신장장애, 간장애 등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장애가 특수교육대상자에 포함되었다. 국내외 문헌에서는 이들이 장기간의 결석 및 치료로 인해 퇴원 후에도 학업상의 문제 뿐 아니라, 학교에서의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에서도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포커스 그룹, 건강장애학생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요구조사, 핵심관련인 패널 토론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교육지원모형은 국내의 교육 실정을 고려하되, 연구에서 파악된 이상적인 면을 최대한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건강장애학생들의 특성상 병원학교/급과 학교복귀를 위한 순회교육, 일반학교 재학 중인 학생을 위한 지원의 세 측면으로 나누어 교육지원체계를 고안하였다. 둘째, 교육 지원 체계의 구조는 1) 교육기회의 확대, 2) 교육방법의 다양화 및 개선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제고, 3)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인력 양성 및 배치, 4) 재정 및 지역사회 연계 등의 지원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셋째, 대상학생의 다양한 건강, 정서, 학업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교육과 다학문적 팀 접근, 현재 공교육에서 소외되어있는 건강장애학생들을 위한 공교육 기회 확대를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삼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되어야 할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authoriz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in 2005 ensured speci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hese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and teachers in addition to academic problems when they return to school after a long period of hospitalization and treatment. In order to develop an educational support model for thes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parent survey, and panel discussion. The principles of the model include appropriate and individualized public education, maximum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multidisciplinary approach, family-centeredness, and system-level support. The model was conceived based on three different conditions that the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might experience: education in hospital schools/classes, education at home(itinerant education), and education in general schools. The components of the model are (1)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2) quality promotion in special education through the enhancement and diversifica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3) personnel preparation and placement, and (4) system-level support including funding and community networking. Finally,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건강장애학생의 부모 요구 조사 결과
Ⅳ.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 모형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앉기 자세의 변화가 7~9세 뇌성마비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직접교수와 진전도 모니터링이 수학학습부진 및 수학학습장애아동의 기초연산능력 및 발달 패턴에 미치는 효과
- The Application of Computer Technologies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Classroom
- 학습장애 선별 및 진단에 관한 문헌분석
- 학교-가족간 협력에 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분석
- 미국내 특수교육과 개설대학 교육과정 내용 분석
-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운동능력과 가동성 방법에 관한 연구
- 점토를 이용한 미술치료활동이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 모형 개발
- 학회지 게재신청논문 심사규정 외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검사(CALS)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 특수학교 건강교과 교육실습의 의미탐색: 좌절, 사랑, 희망
- 청각장애 학교교육과정 재구조화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저시력 학생의 큰글자와 확대경을 사용한 보통글자 읽기 효율성 비교 기초연구
- 뇌성마비아의 음운처리능력과 읽기, 쓰기와의 관계 연구
- Effects of Errors Present versus Absent on Problem Behavior in Difficult Math Work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몰입을 매개로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창의·융합 역량 함양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미술교육 모델 연구
- 의과대학 교육자의 교수 전문성 표준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