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후기 한문학의 의미

이용수 525

영문명
The Significance of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Late Goryeo Dynasty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전수연(Jeon Soo-yeo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대동한문학 제19집, 291~32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0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고려후기의 '記' 작품을 대상으로 한문학 작품의 양식적 역사적 탄력성을 살펴보았다. 고려후기 문학은 불교에서 성리학으로 전환하는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며, 불교와 유교를 아우르는 사상적 융통성은 풍부한 문학사의 실상을 보여준다. 기라는 양식은 단순히 일의 시말을 기록하는 데 머물지 않고 이념적 규정을 넘어 자기확장을 함으로써 생명력을 발휘한다. 神異를 사실의 기록이라는 양식적 틀에 아우름으로써 현실성을 갖게 하고, 議論성을 강화하여 자칫 양식의 경계를 넘을 듯하면서도 기록성이라는 양식적 규범성은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위대한 功業의 기록물에서 개인 체험의 서술물로, 寺刹重修記에서 승려의 所居記로, 불교적 소거기에서 성리학적 樓亭記로 사상사적 흐름을 따라서 영역확장을 하며 역사적 탄력성을 발휘한다. 따라서 허구의 양식인 소설을 중심에 두고 모든 한문학 양식을 수필에 몰아넣어야 하는 서구적 양식 논의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중세문학사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많다. 경계를 넘어서면서도 경계를 허물지 않는 한문학의 탄력성은, 문학과 다른 예술과의 경계를 허물고 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지금의 상황에서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또한 현실적 기능성에 바탕을 두고 현실생활과 긴밀한 관련을 맺은 한문학은, 갈래나누기에 있어 기능과 서술방식을 모두 아우른다. 기능과 서술방식을 아우름으로써 뭇표현들을 문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포괄적인 시각은, 자신의 방식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어하는 오늘의 풍토에 매우 유용하다.

영문 초록

This is a research paper on the flexibility of genre in view of the historical aspects of Sino-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Ki(記) of the late Goryeo Dynasty. Sino-Korean Literature of the late Goryeo Dynasty reflected the shift from Buddism to Sungrihak(性理學, Metaphysical Confucianism). The flexibility of Confucianism coexisting with Buddism brought about a new abundance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The genre Ki(記) not only recorded fact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but also showed its vitality by expanding its field beyond the limit of the genre. Being involved in the frame of record of the facts, religious inspiration(神異) also has the sense of realism. Also by intensifying one's view, it is already beyond the boundary of genre but it doesn't break its principles. From a document of one's great personal achievement to a story of one's personal experiences, from a record of temple reconstruction(寺刹重修記) to a record of monks residences(승려의 所居記), from the residence record for monks in Buddism to the record for a pavilion in Sungrihak(성리학적 樓亭記), All these records have shown the flexibility of genre and the trend of thought and the changes that took place. Consequently, it will be rather unreasonable to apply the western form to the medieval literature history based on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 This is because the form of essays, non-main stream genre in the western forms, can't cover all of the Sino-Korean Literature genres focusing on the non-fictional record. The flexibility of Sino-Korean Literature is already beyond the boundary of the genre but it doesn't break its principles. So it indicates progress in the unity of the literature and other arts. Having both the function and the form of narration in classifying the genre, Sino-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practical function is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realities of life. To absorb a variety of expressions in the genre of literature, it is able to reflect the current trends to reveal one's own life in accordance with his own lifestyl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한문학과 서구적 갈래나누기의 충돌
3. 記의 양식적 개념
4. 양식적 탄력성
5. 역사적 탄력성
6. 마무리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수연(Jeon Soo-yeon). (2003).고려후기 한문학의 의미. 대동한문학, 19 , 291-320

MLA

전수연(Jeon Soo-yeon). "고려후기 한문학의 의미." 대동한문학, 19.(2003): 291-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