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이용수 23

영문명
Centering Student Voice in School: An Action Research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이정민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449~47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학교 교육에서 학생 역할에 대한 재조명과 함께 학생자치활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그간 학생자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참여도와는 달리, 실제로 학생들의 의견이 학교에 반영되는 사례는 많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자치활동에 대한 연구나 정책들은 자치활동 참여 학생들의 경험보다 자치활동의 결과나 효과에 주목한 면이 있다. 이 연구는 상술한 연구자의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실행연구로, 학생자치활동을 통해 학생 목소리를 학교에 반영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실행되었다. 연구의 실행 과정에서 학교 공동체 차원에서 자치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공유하며 그 의미를 함께 세우고자 하였고, 학생들은 자치회의에서 학교의 문제를 직접 찾고 해결 방안을 논의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의견 반영이 ‘안 되는 이유’를 제시하며 대안적인 실천 방안에 대해 함께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우여곡절 끝에 학생들이 자치회 행사를 직접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실행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시선으로 학교를 바라볼 수 있었고, 교사와 학생이 학교의 크고 작은 결정을 함께하는 문화를 만들 수 있었다. 실행연구의 개선안으로 학생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학교와 교사 수준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논의와 학생자치활동의 관심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과 함께 결정을 내린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지, 학생들이 목소리를 ‘잘’ 내려면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과 교사가 공동 주도성을 바탕으로 학교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체제와 문화를 구축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renewed attention on the role of students. Historically, student governance activities were emphasized as a means of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hip and providing political experience. However, there is now a growing expectation that these activities can cultivate student agency. Amid this shift, the focus has increasingly been placed on the outcomes of student governance activities rather than on students’ experiences or their authentic participation in school. This action research explores how student voice can be meaningfully integrated into school decision-making through student governance activities. As both a researcher and an educator, efforts were made to foster a shared understanding within the school community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student governance and to empower students to identify and address school-related issues through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To support this process, teachers provided feedback and actively collaborated with students to implement student voice-oriented practices by student governance. Despite challenges, students successfully initiated and led projects. Furthermore, valuable insights into school dynamics were gained by listening and incorporating their voice, and this contributed to creating a culture of shared decision-making. This study further proposes institutional and pedagogical improvements to enhance student voice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explores strategies to increase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student governance. Finding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co-agency between students and educators in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emphasize the need for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support to sustain meaningful student participation. Ultimate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a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where students and educators work together to develop democratic and participatory governance structures.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민. (2025).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교육학연구, 63 (1), 449-476

MLA

이정민.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교육학연구, 63.1(2025): 449-4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